대구 월성동 주거지 ( )

선사문화
유적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 일대에 청동기시대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에 이르는 생활유적 및 무덤유적이 조성된 대규모 복합유적.
이칭
이칭
대구 월성동 유적
유적
건립 시기
청동기시대
길이
1호 주거지 길이 610㎝, 2호 주거지 길이 850㎝
소재지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 일대
내용 요약

대구월성동주거지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 일대에 청동기시대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에 이르는 생활유적 및 무덤유적이 조성된 대규모 복합유적이다. 구석기시대를 비롯하여 초기 철기시대, 삼국시대∽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유구가 확인되지만, 특히 청동기시대 생활유적과 무덤유적이 오랜 기간 조성된 대규모 복합유적이다.

정의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 일대에 청동기시대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에 이르는 생활유적 및 무덤유적이 조성된 대규모 복합유적.
유적 위치

대구월성동주거지(大邱月城洞住居址)는 대덕산(659m)에서 뻗은 언덕 끝 학산(138m) 일대와 대덕산, 청룡산(793m) 대구분지 서남부에서 발원한 진천천 및 성당천 등이 서쪽으로 흐르며 형성한 월배 주1 일대에 분포한다.

발굴 경위 및 학산 일대 유적 현황

1960년대부터 이 일대에 지표조사를 통해 대규모 선사유적이 존재할 가능성이 지적되었고, 1988년 경북대학교박물관이 학산의 남서쪽 말단에서 월성동 주거지로 명명된 청동기시대 집터 2기를 발굴하면서 유적의 면모가 드러나기 시작하였다.

1988년 조사에서 확인된 집터 2기는 80m 정도 떨어져 독립적으로 분포하는데, 모두 직사각형으로 길이는 각각 610㎝, 850㎝에 이른다. 1호에서는 골아가리〔口脣刻目〕, 구멍무늬〔孔列文〕 등의 역삼동식 토기와 돌도끼〔石斧〕, 가락바퀴〔紡錘車〕, 주2, 숫돌이 출토되었고, 2호에서는 겹아가리짧은빗금무늬가 새겨진 가락동식 토기를 비롯하여 간돌검〔磨製石劍〕, 돌도끼, 반달돌칼, 숫돌 등이 출토되었다.

1997년에는 이곳과 가까운 곳인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 476-2번지에서 추가로 청동기시대 전기의 집터 3기와 조선시대 주3〔土壙墓〕 1기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학산 동남쪽 맨 끄트머리 언덕에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 직사각형, 네모반듯한 모양의 집터 14기가 확인된 송현동유적이 있는데, 주4를 비롯하여 흔암리식 토기, 간돌화살촉, 반달돌칼 등이 출토되었다. 집터 구조와 형태, 출토 유물로 보아 학산 일대에는 대체로 청동기시대 전기의 생활유적이 집중적으로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월배 선상지 일대 유적 현황과 시대

월배 선상지 일대는 현재까지 조사된 바에 따르면 60여 개소가 넘는 유적이 밀집 분포하는 대규모 유적이다. 구석기시대 주5(월성동 777-2번지 유적), 신석기시대(월성동 1275번지), 초기 철기시대(월성동 777-2번지 유적), 삼국시대(월성동 585번지, 월성동고분군 등), 통일신라시대(월성동 1412번지, 월성동 1300번지 등), 고려~조선시대(월성동 498번지, 월성동 739번지, 월성동 600번지 등) 생활유적과 무덤유적이 확인되지만, 밀도가 가장 높은 것은 청동기시대 유적이다.

월배 선상지 일대 대부분의 유적에는 청동기시대 집터, 구덩이〔竪穴〕 등의 생활 유구와 고인돌, 돌널무덤〔石棺墓〕, 돌덧널무덤〔石槨墓〕 등의 무덤과 입석(진천동 입석(사적 411호), 월암동 입석 등) 등이 분포한다. 월성동 566번지, 월성동 1150-1번지 등에서 덧띠무늬〔突帶文〕토기가 출토되는 등 청동기시대 이른 시기부터 유적이 조성되기 시작하여, 전기의 역삼동식, 흔암리식, 가락동식 토기 단계의 집터와 출토 유물, 중기의 송국리형 주거와 출토 유물로 보아 청동기시대 전 기간에 걸쳐 사람들이 모여 생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청동기시대 무덤유적으로는 월성동 지석묘군, 지천동 지석묘군, 상인동 지석묘군을 비롯하여 돌널무덤, 돌덧널무덤 등 다양한데, 주6는 묘역을 조성한 묘역지석묘를 비롯하여 다양한 구조의 지석묘가 확인된다. 이들 무덤유적에서 출토되는 돌화살촉(일단경식) 및 토기(외반구연토기) 조각으로 보아 무덤들이 집중적으로 조성되는 시점은 청동기시대 중기 송국리 문화 단계임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대구 월성동566번지』(대동문화재연구원, 2016)
『대구 월성동1150-1번지 유적』(세종문화재연구원, 2016)
『대구 월성동1498-1번지유적』(대경문화재연구원, 2016)
『辰泉洞 · 月城洞 先史遺蹟』(경북대학교박물관, 2000)
尹容鎭 · 李白圭, 『辰泉洞 · 月城洞 先史遺蹟』(경북대학교박물관, 1991)
주석
주1

골짜기 어귀에서 하천에 의하여 운반된 자갈과 모래가 평지를 향하여 부채 모양으로 퇴적하여 이루어진 지형. 골짜기 어귀의 중심 부분을 선정, 말단 부분을 선단, 그 중간 부분을 선앙이라고 한다.    우리말샘

주2

돌을 갈아 화살의 머리에 붙인 첨두기. 신석기 시대에 처음 만들어져 주로 청동기 시대에 제작되고 사용되었으며, 초기 철기 시대에도 일부가 지속되었다. 원거리의 짐승을 잡는 수렵용으로 사용하였다.    우리말샘

주3

구덩이를 파서 널이나 덧널 따위를 쓰지 않고 직접 시체를 묻어 만드는 무덤.    우리말샘

주4

청동기 시대에 사용한 무늬 없는 토기. 지역에 따라 팽이형 토기, 미송리식 토기, 화분형 토기 따위가 있으며 빛깔은 붉은 갈색이다.    우리말샘

주5

유물이 있어 과거의 문화를 아는 데 도움이 되는 지층(地層).    우리말샘

주6

큰 돌을 몇 개 둘러 세우고 그 위에 넓적한 돌을 덮어 놓은 선사 시대의 무덤. 북방식과 남방식이 있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