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명 제(制)라고 한다. 판소리 광대들은 소리를 배운 뒤 오랫동안 수련하여 명창이 되면 각자의 개성에 따라 소리를 어느 정도 바꾸어 부르는 경우가 많으며, 새로 소리를 짜서 기존의 판소리에 추가함으로써 그 대목을 장기로 삼기도 한다. 이렇게 하여 이루어진 소리가 널리 불려져 후세에 전하게 되는데 이것을 더늠이라고 한다.
가장 오래된 것은 조선 정조·순조 때 활약한 명창 권삼득(權三得)의 「흥보가」에서 ‘제비 후리러 나가는 대목’으로, 중중모리장단에 설렁제 혹은 드렁조로 되어 있다. 권마성(勸馬聲)을 처음 판소리에 응용한 대목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밖에 역대 명창들의 유명한 더늠은 다음과 같다.
즉, 염계달(廉季達)의 「춘향가」에서 ‘남원골 한량’ 대목은 중모리장단에 경드름으로 되어 있으며, 경기민요조를 판소리에 처음 응용한 대목으로 알려지고 있다. 송흥록(宋興祿)의 「춘향가」에서 ‘옥중가(獄中歌)’ 대목은 진양장단에 메나리토리인 산유화조(山有花調)로 되어 있다. 진양장단을 판소리에 처음 응용한 대목으로 알려지고 있다.
김창환(金昌煥)의 「흥보가」에서 ‘제비노정기(路程記)’ 대목은 중중모리장단으로 다른 제비노정기에 비하여 매우 길고 붙임새가 다채롭게 짜여 있다. 정정열(丁貞烈)의 「춘향가」에서 ‘어사출도’ 대목은 자진모리장단으로 붙임새가 다채롭고 극적 표출이 잘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