덧띠토기 (덧띠)

선사문화
물품
아가리 바깥 부분에 단면이 원형에 가까운 덧띠를 말아 붙여서 아가리를 이중으로 만든 청동기시대 후기~초기 철기시대의 일상용 토기.
이칭
이칭
점토대토기(粘土帶土器)
물품
재질
용도
일상용
제작 시기
청동기시대 후기~초기 철기시대
내용 요약

덧띠토기는 아가리 바깥 부분에 단면이 원형에 가까운 덧띠를 말아 붙여서 아가리를 이중으로 만든 청동기시대 후기~초기 철기시대의 일상용 토기이다. 중국 동북 지방에 기원을 두고 있는 토기이며, 한국고고학에서는 점토대토기라고 한다. 크게 원형덧띠토기와 삼각형덧띠토기로 구분되는데, 이 순서는 시간성을 갖고 있으며, 함께 출토되는 금속기 유물도 청동기와 철기로 나뉘어진다.

목차
정의
아가리 바깥 부분에 단면이 원형에 가까운 덧띠를 말아 붙여서 아가리를 이중으로 만든 청동기시대 후기~초기 철기시대의 일상용 토기.
내용

청동기시대 중기 한반도 남부의 토기 문화는 송국리 유형을 대표로 하는 민무늬토기 문화이다. 그러나 서기전 6~5세기 경부터 덧띠토기라는 새로운 토기가 출현한다. 한국고고학에서는 점토대토기(粘土帶土器)라 부르고 있으며, 중국 동북 지방으로부터 유입된 이주민이 가져온 토기로 보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다.

실제 랴오닝〔遼寧〕 지역에서는 심양 정가와자(鄭家窪子)유적을 비롯하여 공주둔 후산 유적 등 소위 정가와자유형이라 불리는 청동기 문화와 점토대토기를 반출하는 유적이 산재하고 있다. 한반도 남부에 덧띠토기가 출현하는 계기는 문헌 기록에 동조(同調)시켜 전국시대(戰國時代) 연나라 장수 진개의 고조선 침공이라는 사건으로 발생한 유이민이 고조선 지역으로 유입되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이로 인해 대체로 서기전 300년을 전후로 하여 덧띠토기가 출현하고, 동시에 주1문화가 형성되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였기에 이때부터 초기 철기시대라 규정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방사성탄소연대가 축적되면서 그 출현 연대가 서기전 6~5세기로 소급되었으며, 소급된 연대가 일반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아가리의 단면 형태에 따라 크게 원형덧띠토기와 삼각형덧띠토기로 대별된다. 원형덧띠토기는 원형에 가까운 덧띠를 아가리 바깥에 돌려 이중으로 구연을 제작한 것인데, 단면이 원형에 가깝다.

이에 반해 삼각형덧띠토기는 원형의 덧띠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덧띠를 손가락의 끝부분이나 도구로 눌러 원형의 형태가 변형된 토기를 말하는데, 그 단면이 삼각형에 가깝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한반도 남부의 덧띠토기는 원형덧띠토기에서 삼각형덧띠토기로 변화하였다. 삼각형덧띠토기도 중국 동북 지방이나 황해남도 명사리유적 등에서도 출토되었기 때문에 외래기원설로 보지만 자체발생설을 주장하는 연구자도 많다.

삼각형덧띠토기는 원형덧띠토기와는 달리 철기 문화의 출현과 연동하는 것으로 보고, 그 출현 계기를 위만조선의 성립(BC 194)에 따른 준왕 남천(南遷) 기사에 동조시켜 실질적인 상한 연대를 서기전 2세기 전반으로 보아 왔다.

하지만 철기 출현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방사성탄소연대에 의해 서기전 3세기까지 소급하는 견해도 있다. 즉, 덧띠토기의 출현 연대에 대해서는 과거의 문헌 기록과 연결시키는 연대와 방사성탄소연대에 의한 연대가 상충하고 있는 상황이다.

덧띠토기는 반드시 아가리 부분에 덧띠를 돌린 토기만을 지칭하지는 않는다. 손잡이달린토기, 검은간목긴항아리, 두형토기(豆形土器), 뚜껑, 시루 등 다양한 기종 구성을 보인다. 대체적으로 삼각형덧띠토기 단계에 더욱 다양한 기종 구성을 보이며, 토기의 내외면을 목판긁기로 정리하는 기법이 유행한다.

원형덧띠토기는 한반도 남부 전역에 분포하며, 삼각형덧띠토기는 남해안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원형덧띠토기는 처음으로 보고된 남양주 수석리유적의 이름을 따서 수석리식토기로 불리기도 하지만, 수석리유적이 원형덧띠토기가 사용된 시간 전체를 대표하지 못하며 최초의 유적도 아니므로 반드시 그렇게 부를 필요는 없다.

반면, 삼각형덧띠토기는 사천 늑도유적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기종이 다량으로 출토되었기 때문에 늑도식토기라 부를 수 있다. 전후 시기의 토기에 비해 기벽이 두텁고, 대칭성이 낮아 일견 조잡한 제작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지만, 덧띠토기를 제작 · 사용한 사람들은 화려하고 세련된 금속기 제작 기술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토기 제작에 관한 한 매우 실용적인 사람들이었다.

청동기시대 후기부터 초기 철기시대를 대표하는 일상 토기가 바로 덧띠토기이다. 특히 남해안지역에서 삼각형덧띠토기는 1세기에도 여전히 일상 토기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원삼국시대의 일상 토기이기도 하다.

의의 및 평가

대별되는 원형덧띠토기와 삼각형덧띠토기는 각각 청동기와 철기라는 새로운 금속기 문화와 관련 있기 때문에 그 출현 연대에 대한 논쟁은 한국고고학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중국 동북 지방에 기원을 두고 있는 토기이므로 이주민과 한반도 남부 재지의 주2이라는 연구 테마를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 신자료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여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한반도 남부뿐만 아니라 일본열도의 출토 사례도 많기 때문에 당시 한 · 중 · 일 교류 네트워크의 규명에도 실마리가 될 수 있는 토기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박순발, 『한강유역의 청동기 · 초기철기문화』(민음사, 1993)

논문

이창희, 「한국 원시고고학의 기원론과 연대론」(『한국고고학보』 102, 한국고고학회, 2017)
박진일, 「한반도 점토대토기문화 연구」(부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이재현, 「변 · 진한사회의 고고학적 연구」(부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주석
주1

우리나라에서 출토되는 동검의 하나. 평양을 비롯하여 전국의 고인돌ㆍ돌무덤 따위 고분의 부장품(副葬品)으로서 남만주ㆍ연해주ㆍ시베리아ㆍ북중국에서도 발견되며, 한국식 동검이라고도 한다.    우리말샘

주2

서로 다른 두 문화가 직접적ㆍ계속적으로 접촉하면서 서로의 문화 요소가 전파되어 새로운 양식의 문화로 변하는 현상.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