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봉소 사건 (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사건
1882년(고종 19) 6월 무위영(武衛營) 소속 구식 군병들이 일으킨 군란.
목차
정의
1882년(고종 19) 6월 무위영(武衛營) 소속 구식 군병들이 일으킨 군란.
내용

임오군란의 시발점이 되었다. 1881년 오군영(五軍營)무위영장어영(壯禦營)의 두 영으로 개편되었다. 이 과정에서 구식 군병들은 실직을 당하거나, 실직당하지 않고 두 영에 소속되었다 하더라도 무위영에 소속된 신식군대인 별기군(別技軍)에 비해 뒤떨어지는 대우를 받았다.

군졸들이 13개월이나 급료를 받지 못해 불만에 가득 차 있던 1882년 6월 초, 전라도에서 올라온 쌀이 서울에 도착하였다.

이어 같은 달 5일 무위영 소속 구 훈련도감(訓鍊都監) 군병들은 선혜청 도봉소에서 우선 한 달 분의 급료를 지급받게 되었는데, 이 때 지급된 쌀이 물에 젖어 썩었거나 겨와 돌이 섞여 있었다. 더욱이 두량(斗量)도 차지 않아 1석의 군료가 반 석도 못 되었다.

군병들은 분노하여 수령을 거부하고, 급료를 지급하던 창리(倉吏)에게 시비를 따졌다. 그런데 선혜청당상(宣惠廳堂上) 민겸호(閔謙鎬)의 하인인 창리로부터 해명을 듣기는커녕 도리어 모욕을 당하게 되었다.

이에 마침내 분노가 폭발, 김춘영(金春永) · 유복만(柳卜萬) · 정의길(鄭義吉) · 강명준(姜命俊) 등이 앞장서 창리와 무위영 영관(營官)들을 구타하였다. 나머지 군졸들 역시 돌을 던져 도봉소는 순식간에 수라장이 되었다.

이후 이 소식을 전해듣고 격노한 민겸호의 지시에 따라 김춘영 등 4, 5명의 군졸이 포도청에 잡혀가 고문을 당하고, 이들 중 2명은 곧 사형당할 것이라는 소문이 퍼졌다. 이에 남아 있는 군졸들이 구명운동을 전개하면서부터 도봉소사건은 거대한 군란으로 확대되어갔다.

즉, 같은 달 9일 무위영 군졸들은 민겸호에게 직접 호소하고자 민겸호의 집을 찾아갔는데, 여기서 군졸들과 도봉소에서 구타당했던 민겸호의 하인과의 사이에 언쟁이 벌어졌다.

그러다가 하인이 집 안으로 피신하자, 군졸들과 여기에 합세한 민중이 뒤쫓아 들어가 민겸호의 집과 기물을 파괴하면서부터 임오군란으로 전개되어 갔다. 도봉소사건은 정부의 개화정책 일환으로 군제개편이 단행되면서 구조적으로 소외된 구 오군영 소속 군병들의 불만이 집약되어 일어난 것으로, 임오군란의 발단을 이루게 되었다.

참고문헌

『한국사』최근세편(이선근, 진단학회, 1961)
「임오군변」(권석봉, 『한국사』 16, 국사편찬위원회, 1975)
집필자
강진갑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