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경용원부 ()

목차
고대사
제도
발해시대의 수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발해시대의 수도.
내용

발해 5경 중의 하나이다. 제3대 문왕 대흠무(大欽茂)가 785년 무렵 이곳으로 천도한 이후 제5대 성왕 대화여(大華璵)가 다시 상경용천부(上京龍泉府)로 천도하는 794년까지 약 10년간 발해의 수도였다. 일명 ‘책성부(柵城府)’라고도 하며, 속주(屬州)로는 경(慶)·염(塩)·목(穆)·하(賀)의 4주가 있다.

그 위치에 대해서는 ≪신당서≫에는 발해에서 일본으로 가는 기점으로 되어 있고, 또 상경용천부에서 동남쪽의 바다에 가까운 것으로 그 방향을 밝히고 있어, 지금의 간도 혼춘(琿春)설, 간도의 국자가(局子街)설, 함경북도온성(穩城)·종성(鍾城)설, 연해주의 블라디보스토크설, 니콜리스크(Nikolisk)설 등이 있다.

이처럼 혼란을 보였던 동경용원부의 정확한 위치는 1942년에 이르러 혼춘현의 반라성(半拉城) 발굴 결과 그 유지의 규모가 상경용천부나 중경현덕부와 겨룰만하다는 것이 밝혀져 동경용원부를 혼춘에 비정하는 데 대하여는 의심의 여지가 없게 되었다.

반라성의 출토품에서 중요한 것은 이불병좌상(二佛幷座像)으로 알려진 유물이 고구려계통의 영향을 가장 뚜렷이 받고 있다는 사실이다.

참고문헌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정약용)
『신당서(新唐書)』
「渤海國の疆域」(松井等, 『滿洲歷史地理』 1, 1913)
『半拉城』-渤海の遺蹟調査-(齊藤甚兵衛, 琿春縣公署, 1942)
「滿洲國間島琿春縣半拉城に就いて」(齊藤甚兵衛, 『考古學報誌』 32·5, 194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