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룡굴 ()

자연지리
지명
평안북도 영변군 용산면 용등동에 있는 석회동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평안북도 영변군 용산면 용등동에 있는 석회동굴.
명칭 유래

동굴 앞에 자주 무지개가 끼는 것은 용이 승천하는 징조라 생각하고 ‘동룡굴’이라 명명하였다.

자연환경

길이 4∼5㎞. 주동(主洞)의 길이는 1,463m, 평균 너비 40m, 평균 높이는 20m로, 대부분의 동굴 속에 종유석과 석순, 그리고 석주와 유석(流石)으로 불리는 종유폭포경관, 계단논 모양의 용식지형, 동굴호수가 있다.

동굴 속에는 안심동ㆍ세심동(洗心洞) 등으로 불리는 넓은 광장이 있고 낙타암ㆍ무사탑(武士塔)ㆍ팔음석 등의 거대한 석순이 많다. 생물로는 박쥐를 비롯한 톡토기ㆍ나방ㆍ노래기 등이 서식한다. 용문산(龍門山, 1,180m) 서쪽 기슭에 위치하는 이 동룡굴은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일찍부터 관광지로 개발된 자연동굴이다.

형성 및 변천

지층은 고생대 조선계의 대석회암통 양덕통(陽德統)의 석회암층에 속한다. 지질연대는 약 4억년 전이다. 동룡굴이 있는 용산면과 신현면 일대는 평남에서 계속되는 캄브리아기의 석회암지대로서 각처에 카르스트 지형이 잘 발달해 있다.

참고문헌

『한국(韓國)의 자연동굴(自然洞窟)』(홍시환, 금화출판사, 1979)
북한지역정보넷(http://www.cybernk.net/)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