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창춘향가 ()

신오위장본
신오위장본
구비문학
작품
조선 후기, 신재효(申在孝)가 개작한 판소리 사설.
작품/문학
작가
신재효
내용 요약

「동창춘향가」는 조선 후기 신재효가 개작한 판소리 사설이다. 신재효는 춘향가를 남창과 동창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남창이 전체 서사 구조가 완결되어 있고 양반의 미의식을 많이 담은 반면, 동창은 실제 창으로 불렸던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서민적인 미의식을 담고 있다. 사설은 오리정 이별에서 끝이 난다.

정의
조선 후기, 신재효(申在孝)가 개작한 판소리 사설.
내용

「동창춘향가」는 현재 가람본( 신오위장본(申五衛將本))과 새터본으로 남아 있다. 새터본은 강한영 선생이 가람본을 연구용으로 주1한 것이므로 실제는 가람본이 「동창춘향가」로 유일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가람본에는 "동창일운여창(童唱一云女唱)"이라는 구절이 있고 "여창과 동창은 주2이 같되 혹 넘나들기도 한다."라고 쓰여 있다. 「동창춘향가」는 그간 어린 소리꾼이 부르던 판소리로 이해되기도 하였으나, 판소리 초보자를 교육하기 위한 사설을 동창이라고 불렀을 가능성도 있어 좀 더 면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후자의 관점에서, 「동창춘향가」는 신재효(申在孝)가 소리꾼의 가창 능력이나 성별, 수준, 혹은 향유층 등을 고려하여 사설을 정리하고 교육하였음을 보여 주는 실례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다른 「춘향가(春香歌)」「춘향전(春香傳)」에 비하여 길이가 짧다. 이 작품은 춘향과 이 도령이 광한루에서 만나 사랑을 맺고 이 도령 아버지의 상경으로 서로 헤어지게 되는 사건까지 구성되어 있다. 이를 미완성으로 보기도 하지만, 오히려 신재효는 「동창춘향가」의 이야기를 오리정 이별에서 멈춤으로써 당대의 현실적인 사랑을 그려내고자 했다고 볼 수도 있다. 「동창춘향가」에는 춘향의 신분이 기생으로 설정되어 있고 방자 역할이 강조되어 있다. 또한 인물들의 대화나 표현, 우리말과 육담(肉談) 등이 생생하게 표현되어 있어 생동 발랄한 느낌을 준다. 삽화나 사설, 재담(才談), 인물의 성격과 행동 등은 당대 판소리의 모습을 잘 반영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동창춘향가」에서는 춘향과 이 도령은 물론이고 방자와 월매, 이 도령의 아버지까지도 각기 살아 있는 자기 목소리를 낸다. 등장 인물을 주3적으로 그렸다는 점에서 신재효가 「춘향가」를 만들 때 서민층을 대상으로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남창춘향가」(男唱春香歌)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보다 성숙하고 품위있게 그려지고 있다는 점과 대비된다. 「남창춘향가」가 장부의 사랑을 그린 데 비하여 「동창춘향가」는 16세 소년, 소녀가 겪는 치기 어린 사랑을 그리고 있다. 이것은 「동창춘향가」의 사실 정신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이 작품은 현실적인 인식에 기초하여 세계에 대응하는 개인의 지향과 그 좌절을 드러내고 있다. 현실적으로 춘향과 이 도령의 주4은 이루어질 수 없음을 전제로 하고 있는데, 이러한 점에서 「동창춘향가」의 세계관은 매우 냉혹한 현실을 그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동창춘향가」는 오리정에서 남녀가 이별을 하는 것을 결말로 그림으로써 현실의 비극을 가감 없이 드러낸다.

「동창춘향가」의 전반부에는 당대 전하던 판소리 사설의 생생한 모습이 담겨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작품은 19세기 후반 판소리 사설의 실상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서의 가치가 크다.

현황

이 작품의 일부는 이날치(李捺致) 창본의 사설에 수용되어 김제 지방의 김이수(金二洙)를 비롯한 여러 소리꾼의 판소리 사설로 전승되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한국학호남진흥원, 『(동리 신재효 사설 영인본 I) 춘향가』(고창군, 2020)
주석
주1

원본에서 베껴 옮김. 우리말샘

주2

늘어놓는 말이나 이야기. 우리말샘

주3

익살을 부리는 가운데 어떤 교훈을 주는 일. 우리말샘

주4

인연을 맺음. 또는 그런 관계.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