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은 ‘지심신례불타야양족존(志心信禮佛陀耶兩足尊)’이다. 영산재(靈山齋)를 올릴 때 영산작법(靈山作法) 절차 중 대직찬(大直讚)·중직찬(中直讚)·소직찬(小直讚) 때 각각 한번씩 짓소리 「두갑」을 부르면서 삼현육각 반주로 「나비춤」을 춘다.
대직찬은 부처를 찬탄하여 위와 같은 사설로 짓소리를 부르고, 중직찬 때에는 법(法)을 찬탄하여 ‘지심신례달마야이욕존(志心信禮達摩耶離欲尊)’을 홋소리로 노래하고, 소직찬 때에는 승려(僧侶)를 찬탄하기 때문에 ‘지심신례승가야중중존(至心信禮僧伽耶衆中尊)’을 노래한다.
『동음집(同音集)』에 기록한 대로 노래한다면 ‘지심(至心)’은 「영산지심」의 ‘지심’의 선율과 같고, ‘신례(信禮)’는 「보례」의 ‘십(十)’자성으로 되어 있고, ‘불타야(佛陀耶)’는 ‘겹셩자셔 흘이다’로 되어 있는데, 실제 음악은 ‘지심신례불타야’까지를 쓸어버리고 ‘양족존’만을 짓소리로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