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게 ()

목차
국악
작품
범패(梵唄) 악곡.
이칭
이칭
연향게(燃香偈)
목차
정의
범패(梵唄) 악곡.
내용

모든 재(齋)에 사용되는 소리로서 부처님께 재를 올리는 상단(上壇) 절차에 포함된다. 부처님께 향을 피워 올리는 「할향(喝香)」을 부른 뒤, 촛불을 밝히는 절차 때 부르는데, 사설은 다음과 같다.

계정혜해지견향(戒定慧解知見香)

변시방찰상분복(徧十方刹常芬馥)

원차향연역여시(願此香烟亦如是)

훈현자타오분신(熏現自他五分身)

상주권공재(常住勸供齋)·각배재(各拜齋)·수륙재(水陸齋)·예수재(預修齋)를 올릴 때는 홋소리로 부르지만, 영산재(靈山齋)를 올릴 때는 짓소리로 부른다. 그리고 곡명도 「등게」라 하지 않고 「연향게(燃香偈)」라 부른다.

그러나 지금은 아무도 이 곡을 짓소리로 기억하는 범패승이 없어, 홋소리로 부르거나 쓸어버리기도 한다. 홋소리로 부른 등게의 음악은 4구(四句) 중 처음 2구인 안짝과 나중 2구인 밧짝이 같은 AA′AA′의 형식을 가지고 있으며, ‘레·미·솔·라·도’의 5음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가운데 ‘미·라·도’의 3음이 가장 많이 쓰이고 있으며 합창으로 부른다.

참고문헌

『불교음악연구』(한만영, 서울대학교출판부, 1981)
『석문의범(釋門儀範)』(법륜사, 1961)
집필자
한만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