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창 ()

조선시대사
제도
고려 석두창(石頭倉)의 후신으로 1403년에 폐지되었다가 1760년 현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남성동에 다시 설치되었던 조선시대의 조창(漕倉).
이칭
이칭
경상도 좌조창
정의
고려 석두창(石頭倉)의 후신으로 1403년에 폐지되었다가 1760년 현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남성동에 다시 설치되었던 조선시대의 조창(漕倉).
개설

17세기 이래 경상도 남부 지역의 전세와 대동미는 각 고을의 지토선(地土船)과 경강(京江)의 민간 선박을 이용하여 운송하였는데, 운송 기간의 과다 소요로 제때에 경창(京倉)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이에 1760년(영조 36)에 창원 마산창(馬山倉)과 진주 가산창(駕山倉)을, 1765년(영조 41)에 밀양 삼랑창(三浪倉)을 설치하였다. 그 중 마산창은 경상도 창원과 그 주변 지역의 전세(田稅)와 대동미를 한성의 경창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내용

마산창은 조선 후기 경상도 남부 지역에 설치된 이른바 3조창(三漕倉) 중 하나이다. 3조창은 창원 마산창, 진주 가산창, 밀양 삼랑창을 지칭한다. 이 중 마산창은 좌조창(左漕倉), 가산창은 우조창(右漕倉), 삼랑창은 후조창(後漕倉)이라 불렀다. 3조창은 수송하는 세곡이 대부분 대동미에 속하였기 때문에, 선혜청(宣惠廳)이 관리하였다고 한다.

마산창은 1760년에 처음 설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미 조선 초기에 창원 지역에는 같은 이름의 조창이 존재하다가 1403년(태종 3)에 폐쇄되고, 경상도 지역의 세곡은 충주와 한강을 거쳐 경창으로 운반되었다. 조선 초기의 마산창은 고려시대 13조창 중 하나인 합포(合浦) 석두창의 후신이다. 조선 초기의 마산창은 석두창에서 단순히 이름만 고친 것인지, 조창의 위치 이동이 동반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한편 조선 후기의 마산창은 가산창과 함께 설치되었다. 경상도의 좌조창과 우조창은 1760년 경상도관찰사 조엄(趙曮)의 장계(狀啓)에 따라 신설되었다. 즉 경상도 남부 각 고을의 세곡은 해당 지역 주민들의 선박인 지토선과 경강의 민간 선박을 이용하여 운송하여 납부하였으므로, 운송 기간이 길어지는 폐단이 생겼다. 따라서 세곡이 제때에 경창에 도달하지 못하여 상해서 쓸모없게 되는 경우가 잦았다. 또한 17세기에는 경상도 남부 지역의 세곡 운송을 위하여, 진주 장암창(場巖倉)에서 창원, 진주 등 9개 고을의 전세를, 양산 감동창(甘同倉)에서 양산 등 7개 고을의 전세를 경창으로 운송하도록 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장암창과 감동창은 정식의 조창은 아니었다. 이에 조선 정부는 1760년에 마산창과 가산창을 설치하였고, 1765년에는 추가로 삼랑창을 설치하였다.

마산창에는 조운선 20척이 편성되어 있었으며, 각 선박에는 사공(沙工)이 1명, 격군(格軍)이 15명, 조보(漕保)가 32명씩 배정되었다. 마산창은 창원, 함안, 칠원, 진해, 거제, 웅천, 의령 동북면, 고성 동남면 등 8개 고을의 전세와 대동미를 모아 한성의 경창으로 운송하는 역할을 맡았다. 마산창의 세곡은 창원부사(昌原府使)가 감봉(監捧)하고 구산첨사(龜山僉使)가 영납(領納)하였는데, 감봉하는 사람을 도차원(都差員)이라 하고, 영납하는 사람을 영운차사원(領運差使員)이라 하였다.

조선 후기의 마산창은 현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남성동 일대에 있었던 것으로 비정되지만, 1403년까지 존재했던 옛 마산창의 위치에 대해서는 다양한 설이 있다. 남성동에 있었다는 설, 마산합포구 석전동 설, 마산합포구 산호동 설 등이 있다.

변천과 현황

19세기 이후 조세의 금납화가 일반화되면서 세곡 운송의 필요성이 점차 감소하게 되었다. 19세기 말이 되면 조운제도는 사실상 폐지의 운명을 맞게 되었으며, 마산창 역시 그 기능을 상실하였다.

의의와 평가

조선 후기 창원 마산창 등 경상도 3조창의 설치 이전에는 경상도 남부 지역의 전세와 대동미 운반에 있어서 각 고을의 지토선과 경강의 민간 선박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이 방식은 운반 시일이 오래 걸려 곡식의 손상을 가져오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따라서 마산창을 비롯한 경상도 3조창은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설치된 것이다. 또한 조선 후기의 마산창은 고려 석두창의 후신이었던 마산창이 1403년에 폐지된 이후 360여 년만에 경상도 남부 마산만 지역에 재건된 조창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미를 갖고 있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지리지(地理志)
『대전회통(大典會通)』
『만기요람(萬機要覽)』
『여지도서(輿地圖書)』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고려시대 조운제도 연구』(문경호, 혜안, 2014)
『한국사: 조선 후기의 경제』 33(국사편찬위원회 편, 탐구당, 1997)
『조선후기 선운업사(船運業史) 연구』(최완기, 일조각, 1989)
「17~18세기 경상도 세곡운송체계의 변화와 삼조창(三漕倉)의 설치」 (문광균, 『대동문화연구』 86,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2014)
「조선후기 양산 甘同倉의 설치와 변천」(문광균, 『한국문화』 66,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4)
「고려시대 조운제와 마산 석두창(石頭倉)」(한정훈, 『한국중세사연구』 17, 한국중세사학회, 2004)
집필자
정요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