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언봉사 ()

목차
관련 정보
만언봉사
만언봉사
유교
문헌
조선전기 문신 · 학자 이이가 1574년에 왕에게 올린 문서. 상소문.
이칭
이칭
갑술만언봉사(甲戌萬言封事), 만언소(萬言疏)
목차
정의
조선전기 문신 · 학자 이이가 1574년에 왕에게 올린 문서. 상소문.
내용

『율곡전서(栗谷全書)』 총 44권 중 권5에 수록되어 있다. 일명 「갑술만언봉사(甲戌萬言封事)」 또는 「만언소(萬言疏)」라고도 불린다. 갑술년에 올린 만언에 이르는 상소라는 뜻인데, 실제는 1만 2,000자가 넘는다. 또한 ‘봉사’란 옛날 중국에서 신하가 임금에게 상주할 때 내용이 누설되지 않도록 검은 천으로 봉해 올린 데서 생겨난 말로, 흔히 장편의 상소문 또는 책자를 말한다.

당시 지진이 일어나는 등 주2가 심해 선조는 조정의 신하로부터 초야에 이르기까지 의견을 구하는 교지를 여러 차례 내렸다. 이 때 우부승지에 재임했던 이이가 이 글을 지어 올린 것이다. 앞부분에서는 임금이 여러 선비들에게 직언을 구하는 심정과 취지를 약술하고, 본문에서는 정사의 문제점 7항과 대안의 9항을 실제 상황을 열거하며 체계적으로 논술하였다.

이이는 기묘사화을사사화 때 이루어진 나쁜 습성과 규칙을 개혁해야 한다고 하면서, 당대 정치가 실질적인 공(功)을 얻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특히 상하(上下)의 신뢰, 관리들의 책임 소재와 책임감, 경연(經筵)의 운영, 인재 등용, 재해 대책, 백성의 복리 증진, 인심의 교화에 있어 실(實)이 없음을 지적, 분석하였다.

이어서 수신(修身)의 요체로 분발 · 학문 · 공정, 어진 선비를 가까이 함 등을 들었고, 주1의 요체로 개방적인 의견 수렴, 공안(貢案)의 개혁, 사치풍조 개혁, 선상제도(選上制度)의 개선, 군정(軍政) 개혁 등의 조목을 현황과 개선책 제시와 함께 논술하였다. 특히, 안민에 대한 진술은 당시까지 역대 조정에서의 해당 정사의 변천 과정을 따지고 분석한 토대 위에서 ‘옛 제도를 개량하여 새로운 법규를 만든다.’는 정신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 상소의 내용은 당시 사회에 대한 전반적인 진단과 처방이라는 점에서 후대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저자는 말미에서 백성들의 원기(元氣)가 이미 쇠퇴해 10년이 못 가서 화란이 일어난다고 경고하고, ‘습속을 따르고 전례나 지키려는 의견들로 인해’ 흔들리지 말고 정성으로 해결책을 구하라고 권고하였다.

참고문헌

『율곡전서(栗谷全書)』
『국역율곡전서(國譯栗谷全書)』Ⅱ(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국역율곡집』(민족문화추진회, 1968)
주석
주1

백성이 안심하고 편히 살게 함. 우리말샘

주2

재앙이 되는 괴이한 일.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