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사사화 ()

조선시대사
사건
1545년(명종 즉위년) 왕실의 외척인 대윤과 소윤의 반목으로 일어나, 대윤이 소윤으로부터 받은 정치적인 탄압.
목차
정의
1545년(명종 즉위년) 왕실의 외척인 대윤과 소윤의 반목으로 일어나, 대윤이 소윤으로부터 받은 정치적인 탄압.
역사적 배경

기묘사화 이후 사림이 후퇴한 사이에 신묘삼간(辛卯三奸 : 중종 20년 신묘년에 사형된 沈貞·李沆·金克愊을 말함.)과 김안로(金安老)와의 싸움과 같은 권신간의 치열한 정권다툼이 일어났다.

김안로는 심정 등의 탄핵으로 귀양중 정신(廷臣)과 내통해, 심정 등이 유배중인 경빈 박씨(敬嬪朴氏)를 왕비로 책립할 음모를 꾸몄다고 탄핵하였다. 이로써 반대파를 제거하고 정권을 잡는 데 성공한 김안로 일파는 허항(許沆)·채무택(蔡無擇) 등과 결탁해 권세를 누리면서, 뜻에 맞지 않는 사람은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몰아내겠다고 위협해 조정을 공포에 떨게 했다.

그러나 문정왕후(文定王后 : 중종의 제2계비 윤씨)를 폐출하려고 음모를 꾸미다가 윤안임(尹安任 : 문정왕후의 숙부)의 밀고로 귀양간 뒤 사사되었다. 이 때 허항·채무택도 처형되었는데, 이들을 정유삼흉(丁酉三凶)이라 한다.

김안로가 실각된 뒤 정권 쟁탈전은 권신에서 외척으로 옮겨가게 되었다. 중종비 신씨는 즉위 직후 폐위되어 후사가 없었고, 제1계비 장경왕후 윤씨(章敬王后尹氏 : 윤여필의 딸)는 세자 호(岵 : 뒤의 인종)를 낳은 뒤 죽었다. 그 뒤 왕비 책봉 문제로 조신간의 일대 논란이 벌어졌으나, 1517년(중종 12)에 윤지임(尹之任)의 딸이 제2계비 문정왕후로 책립되어 경원대군(慶源大君 : 뒤의 명종)을 출산하였다.

이에 문정왕후의 형제인 윤원로(尹元老)·윤원형(尹元衡)이 경원대군을 세자로 책봉하려 꾀하면서 세자의 외숙인 윤임(尹任 : 장경왕후의 아우)과 본격적인 대립·알력이 시작되었다.

윤임 일파를 대윤, 윤원형 형제 일파를 소윤이라고 했는데, 이로써 조신·사림은 서로 갈리게 되고 외척을 중심으로 궁·정 내부의 갈등이 촉발되면서 정계가 양분되었다. 그러던 중 중종이 사망하고 인종이 왕위에 오르자, 외척인 윤임을 중심으로 하는 대윤파가 득세하였다.

인종은 유관(柳灌)·이언적(李彦迪) 등 사림의 명사를 신임하고 이조판서 유인숙(柳仁淑)은 자파의 사림을 많이 등용하였다. 이 결과 사림은 기묘사화 이후 다시 정권에 참여하게 되었으나, 정권에 참여하지 못한 사림들은 소윤파에 가담하게 되었다.

인종은 원래 중종의 반목·갈등 속에서 성장한 유약한 군주로 문정왕후의 뜻을 얻지 못함을 항상 상심하던 중 병을 얻어 재위 8개월 만에 승하하였다. 인종의 뒤를 이은 명종은 12세에 불과하였기 때문에 모후인 문정왕후가 수렴정치를 하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정권은 소윤파인 윤원형에게로 넘어갔다.

내용

윤원형의 형인 윤원로를 탄핵해 귀양을 보내는 것으로 시작된 대윤파의 반격이 실패로 돌아간 가운데, 윤원형은 윤임 및 그 일파인 영의정 유관·유인숙 등과 그 배경을 이루는 사림을 배제하기 위해 평소 이들에게 원한을 가진 정순붕(鄭順朋)·이기(李芑)·임백령(林百齡)·허자(許磁) 등을 심복으로 삼아 계책을 꾸미는 한편, 자신의 첩 난정(蘭貞)으로 하여금 문정대비에게 대윤 일파가 역모를 꾀하고 있다고 무고하게 하였다. 그 결과 대윤 일파는 역모죄로 몰려 윤임·유관·유인숙 등을 비롯해 계림군(桂林君) 김명윤(金明胤)과 이덕응(李德應)·이휘(李輝)·나숙(羅淑)·나식(羅湜)·정희등(鄭希登)·박광우(朴光佑)·곽순(郭珣)·이중열(李中悅)·이문건(李文楗) 등이 처형 및 유배되어 하루아침에 몰락하였다. 이 무고사건으로 빚어진 옥사를 을사사화라 한다.

을사사화의 여파는 더욱 확대되어 윤원로는 동생 윤원형에 의해 처형되고, 또 대윤의 잔당으로서 지목된 봉성군(鳳城君) 송인수(宋麟壽)와 이약빙(李若氷) 등이 죽고, 권벌(權橃)·이언적·정자(鄭滋)·노수신(盧守愼)·유희춘(柳希春)·백인걸(白仁傑) 등 20여명이 유배된 사건이 일어났다. 이 옥사를 정미사화라고도 한다.

이 사건은 문정대비의 수렴정치와 이기 등의 농간을 비난하는 양재역(良才驛)의 벽서사건(1547)을 계기로 일어난 것으로서 소윤파의 반대파에 대한 악랄한 제거방법으로 이용된 사건이다.

윤원형은 이러한 음모수법으로 사림과 그의 반대파를 숙청함으로써, 비명에 죽은 명사만도 을사사화 이래 5, 6년간 100여명에 달하였다. 그러나 윤원형의 세도와 수렴정치의 폐단은 심화되어갔으며, 1553년(명종 8) 친정 이후도 그 폐단은 가시지 아니하였다.

이때 명종은 이제까지의 악정을 시정하기 위해 이량(李樑 : 명종비 인순왕후 심씨의 아버지인 심강의 처남)을 이조판서로, 그 아들 이정빈(李廷賓)을 이조전랑(吏曹銓郎)으로 등용했으나, 명종의 신임을 믿고 파벌을 만들어 세도를 부렸을 뿐만 아니라 순종하지 않는 사림출신의 윤근수(尹根壽)·이문형(李文馨)·박소립(朴素立)·윤두수(尹斗壽) 등을 외직으로 추방하고 심지어는 반대사림들을 숙청하기 위해 사화를 일으킬 흉계를 꾸미기도 하였다.

이 흉계는 심의겸(沈義謙)의 밀고로 이량은 유배 후 사사되고, 그 일당의 세력은 제거되었다. 이러한 정국 속에서 윤원형은 그 권세와 영화를 누리고 있었으나 1565년 문정대비가 죽자 몰락하고, 신진사류가 다시 정계에 복귀하였다.

귀양갔던 노수신·김난상(金鸞祥)·유희춘·백인걸 등이 돌아와 요직을 차지하고 재야의 신진사류가 많이 등용되어 정계는 사림 중심으로 재편성되어 유교정치가 재현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사림들 중심의 대의명분론적 유교정치는 선조대로 이어져 권력지향적인 붕당의 싹이 되었다.

다시 말하면, 조선 전기의 사화들은 그것이 훈구세력에 의해서든 궁중 또는 외척에 의해서든 간에 화를 당한 쪽이 거의 신진사류였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이 정쟁의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후세의 당쟁과 연결된다. 다만, 사화에서는 학통과 정치이념상의 문제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당쟁은 순전히 정권을 잡기 위한 정치투쟁적인 성격으로 말미암아 정치적 당파성이 강하였다.

또 사화의 영향으로 사림들이 고향에 은둔하고 학문연구에 전념하여 성리학의 발전을 가져왔다. 한편, 은둔한 사림들에 의해 서원(書院)이 일어나 사림의 학문적 도장으로, 정론(政論)의 광장으로 후세 당론의 진원지가 되어 붕당세력의 온상이 되었다.

이러한 서원의 발달과 성격은 조선왕조의 정치문화적 특성과 정치투쟁의 새로운 양상을 가져오게 한 요인이 되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참고문헌

『중종실록(中宗實錄)』
『인종실록(仁宗實錄)』
『명종실록(明宗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당의통략(黨議通略)』(이건창)
『조선유교사회사론』(이태진, 지식산업사, 1989)
『이조당쟁사연구』(강주진, 서울대학교출판부, 1971)
「사화와 당쟁과의 관계」(홍순창,『대구사학』7·8합집, 1973)
「사화와 당쟁」(신범식,『한국사상』 5, 1968)
『韓國政爭志』(幣原坦, 三省堂書店, 1907)
「東西分黨における先輩·後輩の對立について」(太谷森奉, 『朝鮮學報』 14, 1959)
「朝鮮黨爭の起因じて論-士禍との關係に及ぶ-」(瀨野馬熊, 『白鳥記念東洋史論叢』, 1925)
집필자
홍순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