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책. 석인본. 철현(喆炫)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신득구(申得求) · 신제모(申濟模)의 서문과 권말에 기정진(奇正鎭)의 행장후(行狀後), 임헌회(任憲晦)의 묘지명(墓誌銘), 송기면(宋基冕)의 발문이 있다. 전북특별자치도 고창의 현곡서원(玄谷書院)과 전주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시 79수, 서(書) 6편, 잡저 19편, 서(序) 8편, 기(記) 3편, 발(跋) 10편, 제문 12편, 축문 2편, 행록(行錄)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단종 때 비명에 죽은 황보인(皇甫仁) · 김종서(金宗瑞) · 정분(鄭苯) 등 삼정승과 사육신 · 생육신, 그리고 임진왜란 때의 삼장사(三壯士), 병자호란 때의 삼학사(三學士) 등을 찬양한 것이 많다.
이밖에 자신의 일생을 회고한 「술회문(述懷文)」, 자식들을 경계한 「계자서(戒子書)」, 제자들에게 『소학』의 중요성을 타이른 「교유제생문(敎諭諸生文)」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