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산 망월암 ( )

불교
유적
조선 전기, 고승 신미가 경기도 안양시 삼성산에 창건했다고 전하는 암자.
이칭
이칭
망일사(望日寺)
유적/건물
소재지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망월암은 조선 전기 고승 신미가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삼성산(三聖山)에 창건했다고 전하는 암자이다. 삼층석탑이 전해지고 있으며 극락전에 조선시대 소조 여래 좌상이 봉안되어 있다. 현재 한국불교태고종 소속의 사찰이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 고승 신미가 경기도 안양시 삼성산에 창건했다고 전하는 암자.
건립경위

망월암(望月庵)은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石水洞) 삼성산(三聖山)에 있는 주1이다. 1407년(태종 7), 신미(信眉)태종의 명으로 삼성산 남쪽에 오층석탑을 세우고 절을 주2 망일사(望日寺)라 했다고 하는데, 신미의 활동 연대로 보아 태종 7년은 세조 7년(1461)의 주3로 보인다. 16세기 전반에 나온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금천현(衿川縣) 조에 망일사는 안양사(安養寺), 안흥사(安興寺), 삼막사(三藐寺), 성주사(聖住寺)와 함께 삼성산에 위치한 사찰로 기록되어 있다.

변천

명칭이 언제 어떻게 망일사에서 망월암으로 바뀌었는지 알 수 없지만, 절이 화재로 불에 타거나 폐사된 후 암자가 세워지면서 개명된 것으로 추정된다. 영조대인 18세기 중반에 전국의 읍지를 모아 만든 『여지도서(輿地圖書)』에 금천현 안에 망월암이 나온다. 1779년(정조 3) 동호(東湖)가 중창했고, 1928년 주지 이종식(李鍾植)이 법당을 중건했으며 1929년에는 대방(大房)을 주4 현존하는 전각으로는 극락전주5 등이 있으며, 극락전에는 조선 후기에 조성된 소조 여래 좌상(塑造如來坐像)이 주6 있다. 또 극락전 앞에는 고려시대 양식을 따른 삼층석탑이 남아있다. 현재 한국불교태고종 소속의 사찰이다.

참고문헌

원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여지도서(輿地圖書)』

단행본

권상로 편, 『한국사찰전서』 (동국대출판부, 1979)
주석
주1

큰 절에 딸린 작은 절. 우리말샘

주2

건물이나 조직체 따위를 처음으로 세우거나 만들다. 우리말샘

주3

잘못 기록함. 또는 그런 기록. 우리말샘

주4

건축물 따위의 낡고 헌 것을 손질하며 고치다. 우리말샘

주5

절에 있는 승려들이 거처하는 집. 우리말샘

주6

신주(神主)나 화상(畫像)이 받들어져 모셔지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용태(동국대학교 교수, 지역불교 및 불교사 연구(조선시대 불교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