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2기. 동쪽 승탑 높이 3.4m, 서쪽 승탑 높이 3.3m. 망해사 법당 서북쪽에는 돌로 쌓은 거대한 축대가 남향으로 자리하고 있는데, 승탑은축대 위의 널찍한 대지에 동서로 마주보고 서 있다. 일찍이 파손되었던 것을 1960년에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하였다.
두 승탑은 신라 승탑의 전형적인 양식인 8각원당형(圓堂形)을 따르고 있으며, 전체 규모나 조성 양식, 세부의 조각 수법은 같다. 다만 서쪽 승탑에 비해 동쪽 승탑은 손상된 부분이 많은 편이다.
단면 8각의 받침돌은 여러 장의 길고 큼직한 단면 4각의 널돌을 놓아 만든 바닥돌 위에 놓여 있다. 받침돌은 아래받침돌, 가운데받침돌, 윗받침돌로 이루어졌는데, 아래받침돌만 2장의 돌을 겹쳐 조립하였고, 가운데받침돌과 윗받침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조성되었다.
아래받침돌은 아래부분에 8각의 돌을 놓고서 그 위에 연꽃 무늬를 새긴 돌을 올려 놓은 모습이다. 아래돌의 옆면에는 각 면마다 덮개돌과 얕고 각진 굽을 위아래에 새기고서, 가운데에 안상(眼象) 1구를 면에 꽉 차도록 얕게 조각해 놓았다. 연꽃 무늬를 새긴 굄돌은 각 모서리마다 꽃잎이 아래로 향한 복련(覆蓮)의 연꽃 무늬가 1개씩 새겨져 있는데, 연꽃 안에는 고사리 무늬와 함께 삼산(三山) 모양의 귀꽃이 장식되어 있다. 연꽃 무늬 위에 높직한 1단의 각진 굄을 새겼고, 그 위에 다시 낮은 3단의 각진 굄을 돋을새김하여 가운데받침돌을 받치게 하였다. 가운데받침돌은 낮은 편으로, 각 면마다 좌우에 모서리 기둥이 새겨져 있을 뿐, 다른 장식은 없다. 윗받침돌은 아래받침돌의 윗부분처럼 단면 8각의 각진 받침을 아래부분에 층단으로 두었는데, 맨 위의 높직한 1단 받침은 아래받침돌의 높직한 맨 아래 1단 굄과 대칭이 되지만, 가운데받침돌과 만나는 받침은 2단으로 아래받침돌의 낮고 각진 3단의 굄보다 1단이 적다. 옆면에는 꽃잎이 1장인 단엽(單葉)의 연꽃 무늬를 꽃잎이 위로 솟은 앙련(仰蓮)으로 조각하였는데, 특히 16개의 연꽃 무늬를 위아래에 2중으로 새겨 화사하게 꾸몄다. 윗면에는 4분원(四分圓)의 둥근 굄을 조각하고서 그 위에 8각의 몸돌 굄돌을 올려 놓았다.
몸돌 굄돌은 받침돌이나 몸돌과는 다른 돌로 만들었는데, 아래부분에는 1단의 굽을 돌렸고, 윗부분에는 큼직한 덮개돌 모양을 조각하였으며, 그 사이에는 각 면마다 길고 가는 안상 1구씩을 면이 꽉 찰 정도로 얕게 오목새김하였다. 굄돌의 덮개돌 모양 윗면에는 꽃잎이 여러 장인복엽(複葉)의 연꽃 무늬 24개를 복련으로 둘러 새겼으며, 다시 그 위에 각진 1단 굄을 위아래에 얕게 새기고서 4분원의 둥근 테두리 장식을 그 사이에 조각한 굄을 마련하여 몸돌을 받치도록 하였다. 단면 8각의 몸돌에는 각 면의 좌우에 모서리 기둥이 가지런히 돋을새김되었다.윗면에는 빛이 들어 오도록 옆으로 길게 만든 교창(交窓)이 오목새김되었고, 문짝 모양인 문비(門扉)는 4면에만 새겨져 있다.
지붕돌의 처마와 추녀는 수평으로 넓은 편인데, 각 전각(轉角)마다 약간의 반전(反轉)이 표현되어 있다. 각 전각에는 위아래에 2개, 그 좌우에 2개씩, 모두 6개의 작고 둥근 구멍이 있는데, 풍경을 달았던 흔적으로 보인다. 꼭대기에는 단면 8각의 1단 굄을 새겨 머리장식인 상륜부(相輪部)를 받치도록 하였고, 이 굄의 각 귀퉁이에서 전각으로 이어지는 내림마루인 우동(隅棟)은 제법 높이 표현되었다. 상륜부는 현재 모두 없어진 상태이지만, 파손된 부재 일부가 따로 보관되고 있다고 한다.
신라 헌강왕이 망해사를 창건하였다는 이야기와 관련시켜 볼 때, 두 승탑은 헌강왕의 재위 기간인 875년∼886년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