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와유고 ()

목차
관련 정보
면와유고
면와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정내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3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정내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63년 후손 수용(綬容)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기윤(李基允)의 서문과 권말에 수용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35수, 서(書) 20편, 잡저 1편, 설(說) 1편, 서(序) 3편, 발(跋) 1편, 명(銘) 3편, 제문 7편, 뇌문(誄文)·애사·묘지명·유사·행장·전(傳) 각 1편, 권2는 부록으로 만사 49편, 가장(家狀)·행장·묘지명·묘갈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차운시(次韻詩)와 만시가 많다. 「근차경취정판상운(謹次景翠亭板上韻)」은 임진왜란 당시 이천현감으로 창의하여 왜적을 막는 데 공을 세운 이송강(李松岡)이 후일 관직에서 물러난 뒤 금강변에 축조한 경취정의 편액의 글을 차운하여 금강의 풍경을 묘사한 시이다. 「합류대잡영(合流臺雜詠)」은 저자가 만년에 거주하며 풍류를 즐긴 합류대의 빼어난 경관을 그린 시를 모은 것으로, 「행정(杏汀)」 등 모두 14수가 실려 있다.

잡저의 「태서집편(泰筮輯篇)」은 「주례삼역법(周禮三易法)」·「주자서의(朱子筮儀)」 및 도해(圖解)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글은 『역경(易經)』의 이해를 돕고자 쓴 것으로, 조세의 법도 삼변(三變)에 포함되어 있을 뿐이라고 하며, 태극·음양·동정·소장(消長)의 묘로써 사물을 해설하였는데, 일부 결락된 부분이 있다. 「치포관제도증손설(緇布冠制度增損說)」은 고대에 관례를 행할 때 제일 먼저 쓰다가 한대(漢代) 이후 사인(士人)·학자가 평상시에 쓴 치포관의 실크기의 변화를 문헌에서 고증한 글이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가 가지는 성리학적 인식과 역학(易學)에 관한 사유체계를 엿볼 수 있는 저술로서 주목된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구선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