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5m. 현재 법당 앞뜰의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보물, 1963년 지정) 바로 앞에 석탑과 함께 원래의 위치에 세워져 있다.
여러 개의 판석으로 조립된 지대석과 하대석은 평면이 방형이며 이 위에 연화석(蓮華石)이 놓여 있다. 즉, 하대 상부는 원형의 연화대로서 복엽8판(複葉八瓣)의 복련(覆蓮)이 조각되어 있으며, 정면에는 1단의 각형 굄을 조각하여 8각간주(八角竿柱)를 받고 있는데 간석에는 아무런 조식도 없다.
상대석도 8각인데 하면에는 1단의 각형 굄이 조각되었고 상면에는 아무런 조각이 없이 평평한 위에 8각 화사석(火舍石 : 석등의 점등하는 부분)을 두고 있다.
화사석은 8각형이나 부등변 8각으로서 방형의 네모를 죽인 듯하며 4면은 넓은데 다른 면은 좁다. 화창(火窓)이 넓은 면에 뚫려 있고 나머지 4면에는 아무 조식이 없으며, 창구 가장자리에 오목새김된 구획 안에 화창을 부착시켰던 작고 둥근 구멍이 남아 있다.
옥개석은 아래쪽에 넓은 굄이 얕게 각출되고 8각 추녀마다 반전이 뚜렷하여 전각(轉角)의 반전과 잘 어울려 경쾌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낙수면에는 합각(合角)이 뚜렷하고 정상면에 보주(寶珠)가 있다.
보주는 연봉형인데 하부에 원형의 짧은 간석이 마련되어 그 중간에 한 줄의 선대(線帶)가 둘러져 있다. 연봉의 하연(下椽)에는 한 줄의 선이 오목새김되었고 중간쯤에도 오목새김선문[陰刻線文]이 둘러져 있다.
전체적으로 보아 옥개석이 약간 큰 감이 있으나 평박한 옥개에 전각 추녀마다 반전이 경쾌하여 둔중하지는 않다. 상·하대석의 연판은 세장(細長)하여 통일신라시대 전성기의 풍성하고 고운 연화문과는 썩 다르고 각 부가 형식에 흐른 수법을 보이고 있다. 조성연대는 10세기 경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