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은박공유고 ()

목차
관련 정보
무은박공유고
무은박공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박계봉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2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박계봉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922년 8세손 대진(大鎭)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심전(李心傳)·정석구(丁錫龜)·노규(盧圭)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택주(金澤柱)와 대진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상에 시 3수, 입산기실(入山記實) 1편, 술선계(述先系) 1편, 권하는 부록으로 시 68수, 서유고후(書遺稿後) 3편, 제유고후(題遺稿後) 6편, 유장(儒狀)·도내유림정순상서(道內儒林呈巡相書)·도내유림정수의서(道內儒林呈繡衣書)·통문(通文)·행장·묘갈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의 「궁산술회(窮山述懷)」는 저자가 남원 상천동(霜川洞)에 은거할 때 지은 것으로, 국가의 수치(羞恥)를 감내하기 어려운데 어찌 청력(淸曆)을 사용하겠는가 하였고, 「몽중초혼삼학사(夢中招魂三學士)」는 삼학사의 영혼을 만나 손을 잡고 우리나라로 돌아오는 꿈을 꾼 뒤에 지은 것으로, 그의 절의(節義)를 잘 나타내고 있다.

「입산기실」은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을 당하여 싸움에 참여하지 못하고 부모를 모시고 상천동에 들어가 은거하게 된 일을 적은 기록이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해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