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척와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노이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1년에 간행한 시문집.
이칭
이칭
견행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노이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1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이 문집은 원래 『견행록(見行錄)』이라는 이름으로 7권이었으나 200여 년이 지난 다음 간추려 2책으로 엮었다. 1971년 노이형의 7대손 노회섭(盧晦燮)과 후손 노원선(盧元善)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규헌(李圭憲)의 서문과 권말에 노원선·김연뢰(金淵雷)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4권 2책. 석인본. 계명대학교 도서관·충남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권1에 시 328수, 권2에 서(書) 5편, 소 3편, 서(序) 3편, 기 2편, 명 3편, 설 4편, 제문 14편, 잡저 8편, 축문 2편, 권3에 잡저, 권4에 부록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서(書)는 스승 이재와의 예에 관한 문답이 가장 많은데, 물음과 답이 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다. 소에는 나라의 기강을 세워야 한다는 내용의 「상진계소(上陳戒疏)」 등이 있다.

설에는 담배의 내력과 그 해로움을 여러 면에서 쓴 「남초설(南草說)」, 개가의 금지로 인한 폐해를 지적하며 그 금지를 풀어야 한다고 주장한 「개가설(改嫁說)」, 풍수설(風水說)은 그 폐해가 많으므로 법으로 제지해야 한다는 「지리설(地理說)」 등이 있다.

잡저에는 옛 악경(樂經)의 영가(詠歌)·무도(舞蹈)를 그림으로 그리고 그 도에 대한 설명을 자세히 붙인 「고악영가무도도(古樂詠歌舞蹈圖)」와 경의(經義)나 예의 및 풍속·특정인물의 사상에 대한 문답이나 의견을 자세히 적은 「강의수록」이 있다.

부록으로는 저자가 후진양성을 하였던 운산서숙(雲山書塾)에 대한 기, 저자와 창화(唱和)하였던 시나 관계가 있는 글, 그에 대한 만사·제문 등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