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위

목차
관련 정보
현대문학
작품
1940년~1945년 경, 유치환(柳致環)이 창작한 시.
작품/문학
발표 연도
1947
간행 연도
1947
작가
유치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바위」는 1940년~1945년 경 유치환(柳致環)이 창작한 시이다. 이 시는 시인이 1940년 만주로 이주한 이후부터 1945년 귀국하기 전까지의 기간에 창작된다. 시인의 두 번째 시집 『생명의 서』에 실려 있다. 이 시에서 ‘바위’는 “애련”과 “희로”에 물들고 흔들리는 인간의 나약함과는 대척적인 성질을 지닌, 영원한 강건함을 지닌 존재를 의미한다.

목차
정의
1940년~1945년 경, 유치환(柳致環)이 창작한 시.
내용

「바위」는 유치환 시인의 대표작 가운데 하나로, 그의 두 번째 시집 『생명의 서(書)』(행문사(行文社), 1947)에 실려 있다. 유치환은 이 시가 실린 시집 『생명의 서』의 서문에서 “여기에 모은 것은 첫 시집 이후 해방 전까지 된 것들로 그 중에도 제2부의 것은 내가 주1로 도망하여 가서 살면서(진정 도망입니다) 떠날 새 없이 허무 절망한 그곳 광야에 위협을 당하며 배설한 것들”이라고 밝힌다. 이로 보아 제1부에 실린 시 「바위」는 유치환이 첫 시집 『청마시초』(청색지사, 1939) 발간 이후 1940년 만주로 이주하여 1945년 귀국하기 전 시기에 창작된 시로 볼 수 있다. 이 시는 연 구분이 없고 12행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치환은 1938년 중일 주2 발발 이후 점차 악화되어 가는 식민지 조선의 상황, 친일에의 압력을 피해 만주행을 결심한다. 그러나 이 시집의 서문에서 밝힌 대로, 그곳에서도 자신이 “도망”하듯 이곳을 왔다는 자책감에 시달리며 여전히 안온한 공간이 아닌 “광야”에서 “허무”와 “절망”에 빠지게 된다.

유치환의 시에서 등장하는 자연물은 세계의 모든 존재를 고통스럽게 만든 근대 사상과 제도가 존재하지 않는, 생명의 본원적 순수성을 간직한 시공간으로 볼 수 있다. 이 시에서 ‘바위’는 “애련”과 “희로”에 물들고 흔들리는 자신, 인간의 나약함과는 대척적인 성질을 지닌 강건한 존재로, 고통스런 인간의 시간을 하찮은 것으로 무화시키는 영원성을 지닌 존재로 표상된다. 인간이 집착하는 “생명도 망각하고” 함부로 “꿈꾸어도 노래하지 않고”, 누군가의 폭력에 “두쪽으로 깨뜨려져도”, “소리”조차 내지 않은 채 묵묵히 견디며 인간의 역사적 현실을 초월해 간다. 이는 식민지 현실에서 도덕적 주3에 고통스러워 했던 시인이 희구했던 존재성으로 “드디어” 그 “생명도 망각”한다는 구절은, “비와 바람”으로 상징되는 현실적 고난의 기원인 세계의 모든 인식과 제도를 무화시키는 ‘아나키한’ 인식의 궁극을 표현한 것이다.

의의 및 평가

이 시 「바위」는 현실적으로는 저항하지 못한 주체의 죄의식을 드러냄과 동시에 대척적인 존재인 바위의 형상을 통해서 역설적으로 당대 역사적 현실의 폭력성을 폭로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시는 유치환 초기 시세계의 사상적 특징을 가장 잘 표현해 낸 작품으로 식민지 말기 시문학 정신사를 풍부하게 만드는 데 기여한다.

참고문헌

원전

유치환, 『생명의 서(書)』 (행문사, 1947)

논문

김윤식, 「유치환론 (상)」 (『현대시학』 2-10, 현대시학사, 1970)
손남훈, 「청마 유치환 시의 초월 의식 연구」 (『동남어문논집』 44, 동남어문학회, 2017)
주석
주1

중국 만주의 북부. 대체로 궁주링(公主嶺)의 북쪽 땅을 이르며, 쑹화강과 헤이룽강이 흐르고 있다. 우리말샘

주2

1937년 루거우차오(盧溝橋) 사건에서 비롯되어 중국과 일본 사이에 벌어진 전쟁. 일본이 중국 본토를 정복하려고 일으켰는데 1945년에 일본이 연합국에 무조건 항복함으로써 끝났다. 우리말샘

주3

청렴하고 결백한 성질.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