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괘 ()

목차
유교
개념
『주역』 64괘 중 23번째에 있는 유교기호. 괘명.
목차
정의
『주역』 64괘 중 23번째에 있는 유교기호. 괘명.
내용

‘박(剝)’은 ‘떨어지다(落)’ ‘다하다(盡)’ ‘소멸하다(消)’라는 뜻이다.

박괘의 전체를 보면, 초효부터 5효까지 다섯효가 음효이고 상효 하나만이 양효로서 음기가 아래에서부터 점점 자라나 극에 달해 양기를 떨어뜨려 소멸시키려는 모습이다. 또한 내·외괘로 보면 땅위에 솟아 있던 산이 무너져 지상에 부착되어 있는 형상이다. 이것은 사악한 세력이 점차 확대되어 가면서 정의가 소멸되려는 위기의 상황을 상징한다.

그러므로 괘사에서 “박은 가는 것이 이롭지 못하다.”고 하여 현 상태에서 일을 중지할 것을 권한다. 「단전(彖傳)」에서 “상황에 순응해 그치는 것은 박괘의 괘상을 살펴 본 것이니 군자가 양기의 소식영허(消息盈虛)하는 이치를 숭상해 따르는 것이 천도의 운행에 합치하는 것이다”고 한 것처럼 양기가 다해 박락(剝落)되는 시기에는 이에 순응해 더 이상 일을 진전시켜서는 안 된다.

그러나 악한 세력이 정의를 끝까지 소멸시킬 수 없다는 사실을 박괘는 강조하고 있다. 6효의 전개 과정을 보면 처음에 침상의 다리를 떨어뜨리고, 이어서 침상의 동체와 피부까지 떨어뜨리지만 5효에 오면 양효의 총애를 구한다.

그리고 마지막 남아있는 상구(上九)의 효사에서는 “큰 과일(碩果)은 먹지 말아야 한다. 군자는 수래를 얻고 소인은 집이 무너질 것이다.”고 경고한다. 과일 속에는 씨앗이 들어 있다. 이것은 새로운 생명으로 피어날 씨앗이다.

이것마저 먹어버린다면 부활의 희망은 사라지고 만다. 그리고 이것을 없애버린 악한 세력은 자신의 안식처를 부셔버리고, 스스로 묘혈을 파는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어둠이 짙을수록 밝음의 씨앗은 소중히 보존되어야 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설문해자(說文解字)』
『주역전의대전(周易傳義大全)』
『주역절중(周易折中)』
『易經』(領木由次郞, 集英社, 1985)
집필자
최영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