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준 ()

박영준
박영준
현대문학
인물
일제강점기 「모범경작생」 · 「목화씨 뿌릴 때」 · 「아버지의 꿈」 등을 저술한 소설가.
이칭
만우(晩牛), 서령(西嶺)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1년
사망 연도
1976년
정의
일제강점기 「모범경작생」 · 「목화씨 뿌릴 때」 · 「아버지의 꿈」 등을 저술한 소설가.
개설

호는 만우(晩牛) · 서령(西嶺). 박영준(朴映逡)이라는 필명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평안남도 강서 출생. 목사인 박석훈(朴錫熏)의 둘째아들로 태어났다.

생애 및 활동사항

평양 숭실중학교와 광성고등보통학교를 거쳐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들어가 1934년 졸업하였다. 같은 해에 장편 「1년(一年)」『신동아』 현상모집에 당선되고, 단편 「모범경작생(模範耕作生)」『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콩트 「새우젓」이 『신동아』에 동시에 당선됨으로써 문단에 등장하였다.

1935년 독서회사건으로 피검되어 5개월간 구류 당하였고, 1938년 만주 주1 반석현(盤石縣)으로 이주하여 교편생활을 하였다. 광복 후 귀국하여 신세대사(新世代社)에 입사하였다.

1948년 경향신문사 문화부를 거쳐 1951년에는 육군본부 정훈감실 문관으로 복무, 종군작가단 사무국장으로 활동하였다. 1954년 단편집 『그늘진 꽃밭』(1953)으로 제1회 아세아자유문학상을 수상하고, 1955년 연희대학교와 수도여자사범대학 강사를 거쳐, 1959년 한양대학교 부교수, 1962년에는 연세대학교 교수로 근속하였다. 1965년 제14회 예술원상을, 1967년에는 서울특별시문화상을 수상하였다.

광복 전까지 그는 주로 농촌의 가난을 소재로 하는 농촌소설을 많이 썼다. “나는 가난 속에서 태어나고 가난 속에서 자랐다. 내가 아는 사람도 가난한 이들뿐이다. 그 속에서 나온 내 소설이 가난이 아닐 수 없다.”는 그의 말에서 작가정신의 일단을 엿볼 수 있다. 즉, 고통받는 사람들에 대한 인간주의적 사랑의 정신이 그것이다. 여기에는 목사였고 독립운동가였던 그의 아버지의 영향이 적지 않게 작용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1년」 · 「모범경작생」 · 「아버지의 꿈」(1936) · 「목화씨 뿌릴 때」(1936) 등의 주요 작품들은 민족운동의 계몽성이나 사회주의의 목적성을 표방하지 않고 농민의 실상이나 집념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미를 가진다. 광복 후 그는 소설의 무대를 도시로 옮겨 도시 소시민의 생활을 중심으로 인간고독과 윤리문제를 집요하게 추구하였다.

이러한 추구를 통하여 그는 인간이 본래 고독한 존재이나 이에 절망하지 않고 오히려 이를 고양된 정신의 세계로 승화시켜 나가려는 삶의 의지와 자세를 부각시키고 있다. 또 이와 반대로 물질과 쾌락만능의 세태 속에서 인간으로서의 기본적인 윤리의식마저 마비되어버린 현대인의 타락상을 폭로하기도 하였다.

제1단편집 『목화씨 뿌릴 때』(1946) 이후 그는 『풍설(風雪)』(1951) · 『그늘진 꽃밭』(1953) · 『방관자(傍觀者)』(1960) · 『고호(古壺)』(1964) · 『추정(秋情)』(1968) 등 다수의 단편집들을 중심으로 왕성한 창작 의욕을 보였다. 이러한 작품들을 통하여 그의 문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흥미중심이나 탈윤리적 감각문학의 문단적 시류에 편승하지 않고, 인간적인 성실성과 정직을 통한 ‘선량한 인간상의 추구’로 일관하여왔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현대소설사』(이재선, 홍성사, 1979)
『박영준론』(구창환, 범우사, 1979)
주석
주1

중국 만주 지방에 있는 성. 성도(省都)는 장춘(長春).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