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인 ()

목차
관련 정보
발인(견전례) / 유월장
발인(견전례) / 유월장
가족
의례·행사
장례를 치르기 위하여 상여가 집을 떠나 장지에 도착할 때까지 행하는 상례의식.
목차
정의
장례를 치르기 위하여 상여가 집을 떠나 장지에 도착할 때까지 행하는 상례의식.
내용

영구를 상여에 옮기는 것부터 상여가 장지에 도착할 때까지의 과정이라 할 수도 있다. 장례를 치르는 날 아침이 되면 마당에 상여가 꾸며지고, 이어서 축관이 영구 앞에 북향하여 꿇어앉아 “이제 영구를 상여에 옮김을 알립니다[今遷柩就轝敢告].”하는 고사를 드리고, 영좌(靈座)를 옮겨서 상여 옆에 둔다.

다음에 부인들은 물러서고 일꾼들이 들어와 영구를 옮겨 상여에 싣는데, 머리를 남쪽으로 향하게 한 뒤 새끼로 튼튼하게 묶는다. 상주는 곡을 하면서 영구를 따라 내려와 영구 싣는 것을 지켜본다. 부인들은 휘장 뒤에서 곡을 한다.

영구가 상여에 실리면, 축관이 집사를 거느리고 영좌를 영구 앞 남향으로 옮긴다. 그 다음에 견전(遣奠)의 예를 올린다. 견전이란 영구를 떠나 보내면서 음식을 차려 대접하는 의식이다. 이때 차리는 음식은 아침제사[朝奠] 때와 같이 한다. 부인들은 견전에 참여하지 않는다.

그 절차를 보면, 먼저 축관이 술을 따르고 꿇어앉아, “영구의 수레가 이미 준비되었으니 곧 유택으로 갑니다. 이에 떠나보내는 의식을 차려 영원한 이별을 고합니다[靈輀旣駕 往郎幽宅 載陳遣禮 永訣終天].”라고 고사를 드린다. 그리고 상주 이하 모두 곡하고 두 번 절한 뒤 철상을 한다. 견전 후 이어서 축관이 혼백과 향불을 모시고 새로 만들 신주를 받들어 혼백 뒤에 둔다.

이때 부인들이 휘장을 걷고 나와 서서 곡을 하며, 장지에 따라가지 못할 사람도 곡을 하고 두 번 절을 한다. 그러면 상여가 떠나간다. 상여행렬의 순서는 방상(方相)이 맨 앞에 서고, 그 뒤에 차례로 계집아이[女僕]·사내아이[侍者]·명정(銘旌)·영거(靈車)·상여, 상여 옆에 삽(翣)이 따른다. 상여 뒤에는 상주 이하 복인(服人)이 복의 경중에 따라 열을 지어 곡하면서 따르고, 그 뒤에 복이 없는 친척들과 그밖의 손님들의 순으로 따라간다.

상여가 가는 도중에 친한 사람이 있어 길가에 휘장을 치고 제물을 준비하고 있으면 상여를 멈추고 제사를 올린다. 그 의식은 집에서 제사지내는 절차와 같다. 또 상여가 지나는 도중에 사자와 유관한 곳이 있으면 상여를 멈추고 곡을 한다. 만약 장지가 멀어서 하루 만에 도착하지 못하면 30리마다 상여를 멈추고 영좌를 설치하여 아침·저녁으로 곡을 하고, 제사를 올린다.

또 점심 때는 상식(上食)을 올리며, 밤이 되면 상주형제는 영구 곁에서 자고, 친척들은 밤을 새우기도 한다. 이때 화톳불을 마당과 문간에 피운다. 이상은 예서의 절차인데, 관행에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보통 상여가 준비되면 고축을 한 다음 복인들이 영구를 내 모시고 나온다.

상여에 영구를 얹어 묶은 다음에 그 옆에 영좌를 설치하고 발인제(發靷祭)를 지낸다. 발인제는 맏상주가 분향, 헌작하고 축관이 고축을 하면 모두 곡을 한 다음 재배하여 끝낸다. 이때의 음식은 상여꾼들이 갈라 먹는다. 여기서 예서의 견전이 발인제로 변모했음을 알 수 있다.

발인제가 끝나면 상여가 떠나는데, 명정·공포·만사·혼백·상여 등의 순서로 나간다. 혼백은 영거에 모시나, 영거가 없는 경우에는 사위가 모신다. 상여는 집을 떠나기 전에 상주와 집을 향해 세 번 앞을 숙이고, 이에 상주들은 절하여 답한다. 상여가 떠나면 곧 이어 죽은 사람이 쓰던 일용품을 태워버린다.

상여가 절친한 친지·친구집을 지날 때면 그 집에서 상여를 세우고 노제(路祭)를 지내며, 또 개울이나 고개를 지날 때도 상여를 세워 노제를 지내기도 한다. 이상의 발인절차를 살펴보면, 발인은 예서의 견전 및 관행의 발인제와 더불어 죽음의 처리과정의 한 단락이지만, 영결 및 영결의식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상례(喪禮)

참고문헌

『상례비요(喪禮備要)』(김장생)
『사례편람(四禮便覽)』(이재)
『상변통고(常變通攷)』(유장원)
『가례(家禮)』(주희)
『한국전통사회의 관혼상제』(장철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완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