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마선 ()

교통
지명
북한의 평안북도 신의주시 남신의주역에서 염주군 염주역까지 이어지는 철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의 평안북도 신의주시 남신의주역에서 염주군 염주역까지 이어지는 철도.
개설

평의선(과거의 경의선 구간 가운데 평양에서 의주 구간을 일컫는다)에서 갈라져 나온 지선으로 총 연장은 39.6㎞에 달한다. 1905년에 개통될 때에는 경의선의 본선이었다. 1964년에 남신의주역과 염주역 구간에 기존 노선보다 더 짧은 노선인 양시선(楊市線: 양시는 룡천의 옛 이름이다) 28.7㎞가 개통됨에 따라 경의선에서 운행 체계가 분리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 경의선에 포함되었던 이 구간의 명칭을 지금의 백마선으로 변경하였다.

명칭 유래

경의선에서 분리될 때에 노선에 있는 역 가운데 오래된 역인 백마역의 이름을 따서 백마선 명칭이 유래하였다.

현황

본래 경의선의 본선일 때에는 복선 구간이었으나, 한국전쟁 이후 단선으로 바뀌었고, 전철화 작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신의주시에 남신의주역, 석하역이 설치되어 있는데, 남신의주역에서는 평의선 및 덕현선과 교차한다. 피현군에는 백마역, 룡계리역, 피현역, 량책역이 설치되어 있고, 염주군에는 염주역이 있다. 한편 남신의주역에서 염주역에 이르는 평의선 구간에는 락원역, 룡천역, 룡주역, 내중역이 설치되어 있다.

염주역과 피현역 사이는 석유 및 화학 관련 공장이 즐비한 북한의 중화학공업지대로 알려져 있다. 평의선을 따라 이동하는 거리가 더 짧은 관계로, 백마선은 우회노선의 성격을 띄게 되었다. 이 구간에는 많은 지선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지선을 통해 중국에서 들여온 물자가 하역된다.

참고문헌

『조선향토대백과』5(한국 평화문제연구소·조선 과학백과사전출판사 공동편찬, 평화문제연구소, 200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