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운산 ()

자연지리
지명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상동읍과 정선군 고한읍에 걸쳐 있는 산.
지명/자연지명
높이
1,426.6m
소재지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상동읍과 정선군 고한읍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백운산은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상동읍과 정선군 고한읍에 걸쳐 있는 산이다. 해발 고도는 1,426.6m이다. 북쪽 사면은 강원랜드 카지노와 스키장 등의 레저 스포츠 시설이 조성되어 있으며, 남쪽 사면의 상동광산은 폐광되었으나, 최근 다시 개발되기 시작했다.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상동읍과 정선군 고한읍에 걸쳐 있는 산.
개설

백운산(白雲山)은 해발 고도 1,426.6m로, 동남쪽의 함백산(咸白山, 1,573m)을 비롯하여 서북쪽의 두위봉(斗圍峰, 1,466m), 북동쪽의 대덕산(大德山, 1,307m) 등과 함께 태백산맥의 고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명칭 유래

산 위에 흰 구름이 늘 끼어 있어 백운산이라고 한다.

자연환경

백운산의 남쪽 사면을 흐르는 수계는 남한강의 지류인 옥동천(玉洞川)으로, 북쪽 사면으로 흐르는 주1는 지장천(地藏川)으로 각각 흘러든다. 이들 두 하천은 강원도특별자치도 영월군 김삿갓면 대야리에서 합쳐져 남한강이 된다.

고한 지역의 지질은 후기 주2와 전기 트리아스기의 평안 주3이 널리 분포하는데, 이 평안 누층군은 대부분 주6주7을 비롯한 쇄설성 주4으로 이루어져 있다. 평안 누층군은 만항층, 함백산층, 고한층으로 나뉘며, 상부 고생대층이 널리 분포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석탄이 매장되어 있다.

형성 및 변천

백운산 남쪽 사면의 영월군 상동읍 구래리에는 1923년에 개광된 남한 최대의 중석광산인 상동광산이 있다. 성동광산은 1970년대까지 전 세계 텅스텐 생산의 20%를 차지할 정도로 생산량이 많았으나, 채굴비 상승과 국제 광물 시세의 약세로 1993년 폐광되었다. 그러나 최근 텅스텐이 전기자동차, 2차 전지, 반도체 등의 첨단 산업에 필요한 전략 광물로 주목을 받으면서 해외 투자를 통해 재가동되기 시작됐다. 북쪽 사면에는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고한읍과 사북읍이 위치하며, 이곳에는 하이원리조트 스키장과 정선 카지노랜드가 조성되어 있다.

고한 지역은 1960년대 이후 전형적인 탄광 도시로 형성되었고, 인구 대부분이 석탄 산업에 종사하였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전체 인구 가운데 80% 정도가 석탄 산업 종사자 및 가족으로 구성될 정도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1960∼70년대 탄광 개발기를 거쳐 1980년대에는 탄광 산업이 활기를 띠었으나, 1989년부터 시행된 석탄산업합리화사업이 시작되면서 급격한 퇴보의 길을 걷게 되었다. 탄광 폐광 이후 지역 경제는 일시에 공동화 주5을 빚게 되었다. 실제로 합리화사업 이후 1993년까지 매년 3∼4개의 탄광이 폐광 절차를 밟았다. 폐광으로 인해 고한읍에서만 매년 1천여 명에 가까운 광부들이 실직하였고, 폐광에 따라 정선군 고한읍과 사북읍은 한때 인구 6만을 넘어설 정도로 호황을 누리던 곳이었지만, 폐광이 계속되면서 2023년 기준 인구가 1만 명 미만으로 줄어들었다.

폐광 지역의 경제가 쇠퇴하여 지역 주민들의 생존권이 위협을 받게 되자 1995년 2월 생존권 확보를 위한 대규모 시위가 발생하였고, 그 결과 폐광 지역의 경제 활성화를 위한 폐광지역개발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1995년 12월 제정되었다. 특별법의 내용은 폐광 지역 개발촉진지구 지정 및 지원, 폐광 지역 내 내국인출입 카지노 1개소를 설치한다는 것이다.

현황

이에 따라 1998년 6월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에 설치되었던 '카지노리조트 사업본부'를 모체로 하여 (주)강원랜드가 설립되어 2000년 10월 28일 고한읍에 스몰 카지노가 개장된 것을 비롯하여 사북읍에는 강원랜드 카지노, 2006년 12월 8일 하이원리조트 스키장 개장 등은 지역 경제 활성화에 직 · 간접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 하이원리조트는 호텔과 콘도, 스키장, 워터파크, 카지노 등 레저시설을 갖춘 국내 정상급 복합 리조트이다. 여기에서는 최근 요가와 명상 중심의 특별 체험 프로그램인 HAO(High1 Activity Organizer) 웰니스도 운영하고 있다.

도박 중독 등 카지노 산업의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주변 지역 음식점, 주유소, 숙박업소의 이용객 증가와 지가 상승, 개발에 대한 기대로 주변 지역 관광지 개발 증대 등 간접적인 효과도 적지 않다. 한편 강원랜드의 지역 사회로의 환원이 다소 부족하다는 지적도 존재하여 2022년에는 사회공헌재단이 설립되기도 했다.

참고문헌

단행본

『강원도지(江原道誌)』 (강원도지편찬위원회, 1959)
『(한국의 발견)강원도』 (뿌리깊은나무, 1983)
『고한읍지(古汗邑志)』 (고한읍, 2006)

기타 자료

『강원일보』 (2023.3.20.)
주석
주1

지표의 물이 점차로 모여서 같은 물줄기를 이루는 계통. 수계의 주체는 하천이지만, 여기에 딸린 호소(湖沼)도 이에 포함된다. 우리말샘

주2

지질 시대의 구분에서 원생대와 중생대 사이의 시기. 지금부터 약 5억 7000만 년 전부터 2억 4000만 년 전까지를 이른다. 시간적 순서에 따라 캄브리아기, 오르도비스기, 실루리아기, 데본기, 석탄기, 페름기로 세분한다. 우리말샘

주3

고생대 후기에 이루어진 지층. 평양 부근과 태백산 지역이 이에 속하는데, 우리나라 무연탄의 대부분은 이곳에서 공급된다. 우리말샘

주4

기존의 암석이 햇빛이나 물, 생물 따위에 의해 파괴되거나 분해된 후 다시 축적되어 형성된 암석. 사암, 역암, 셰일 또는 기존의 석회암 부스러기 물질 등으로 구성된 석회암이 대표적이다. 우리말샘

주5

해외의 생산 활동 비중이 높아지면서 국내 생산 활동의 규모가 축소되는 일. 무역 규모는 유지되지만 국내에서는 고용 문제가 생긴다. 우리말샘

주6

모래가 뭉쳐서 단단히 굳어진 암석. 흔히 모래에 점토가 섞여 이루어지는데 건축 재료나 숫돌로 쓴다. 우리말샘

주7

점토(粘土)가 굳어져 이루어진 수성암(水成巖). 회색이나 검은 갈색을 띠며, 흔히 얇은 층(層)으로 되어 잘 벗겨지는 성질이 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