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산 ()

오대산
오대산
자연지리
지명
강원도 강릉시와 평창군 · 홍천군에 걸쳐 있는 산.
정의
강원도 강릉시와 평창군 · 홍천군에 걸쳐 있는 산.
개설

오대산은 설악산과 더불어 태백산맥에 속하는 고산준령으로 주봉인 비로봉(1,565.4m)을 중심으로 호령봉(虎嶺峰)·상왕봉(象王峰)·두로봉(頭老峰)·동대산(東臺山) 등의 고봉들이 솟아 있다.

명칭 유래

산의 가운데에 있는 중대(中臺)를 비롯하여 북대·남대·동대·서대가 오목하게 원을 그리고 있고, 산세가 다섯 개의 연꽃잎에 싸인 연심(蓮心)과 같다 하여 오대산이라고 부른다.

자연환경

오대산의 지질은 주로 화강암과 화강편마암이고, 주요 산정부가 대부분 평정봉(平頂峰)을 이룬다. 암반의 노출이 적은 데다가 오랜 풍화와 침식으로 인해 토양층이 비교적 두껍다. 주요 하천으로는 월정천과 내린천이 있고, 척천과 월정천이 합류된 오대천이 남한강으로 흘러든다. 동대산과 노인봉(老人峰) 사이의 진고개는 오대천과 연곡천(連谷川)의 분수령이 된다.

오대산은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산림지대로 생물상이 다양하고 풍부하다. 오대산에는 총 2,748종의 동물이 서식하고 있다. 특히 월정사(月精寺) 옆의 금강연(金剛淵)은 천연기념물인 열목어와 메기·탱수·뱀장어 등이 서식하고 있어 ‘특별어류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식물은 전나무·분비나무·신갈나무·자작나무를 비롯하여 총 1,040종이 서식하고 있고, 비로봉 일대의 측백나무·주목나무군락, 호령봉계곡의 난티나무군락, 두로봉과 상왕봉 능선의 철쭉·금강초롱 등은 유명하다. 특히 월정사로부터 상원사(上院寺) 적멸보궁(寂滅寶宮)을 잇는 10㎞의 계곡은 수백 년이 넘은 전나무와 고산식물, 잡목이 우거진 숲으로 수려하고 웅장하다.

현황

1975년 2월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오대산은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잘 보존된 생태계로 널리 알려져 있고, 유서 깊은 사찰과 문화재가 곳곳에 있다. 오대산국립공원의 면적은 약 304㎢로 크게 월정사 지구와 청학동(靑鶴洞)·소금강(小金剛) 지구로 나뉜다.

청학동·소금강 지구는 오대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기 이전인 1970년 1월 이미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노인봉에서 발원한 청학천을 따라가면 곳곳에 기암괴석·층암절벽·폭포·담소 등이 있는데, 경치가 절경이라 일컬을 만큼 빼어나다.

소금강과 청학동이라는 지명은 조선시대의 명현 이이(李珥)가 ‘소금강’이라 하고, 「청학산기」를 남긴 데에서 유래하였다. 소금강은 무릉계(武陵溪)를 경계로 내소금강과 외소금강으로 구분된다.

내소금강에 명소가 많은데, 천하대(天河臺)·십자소(十字沼)·연화담(蓮花潭)·식당암(食堂巖)·삼선암(三仙巖)·청심대(淸心臺)·세심대(洗心臺)·학유대(鶴遊臺)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구룡연(九龍淵)이라고 하는 구폭구담(九瀑九潭)의 구룡폭포와 만물상(萬物相) 일대는 특히 경치가 아름답다. 구룡폭포 부근의 아미산성(娥媚山城)은 고구려와 신라가 각축하던 싸움터이고, 연화담 위에 있는 금강사(金剛寺)는 여승만 있는 사찰이다. 또한 금강사 주변은 천연기념물인 장수하늘소의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오대산국립공원 내의 사찰로는 월정사와 상원사가 유명하다. 또한 중·동·서·남·북의 오대(五臺)에는 각각 사자암(獅子庵)·관음암(觀音庵)·수정암(水精庵)·지장암(地藏庵)·미륵암(彌勒庵) 등의 암자가 있다. 월정사 경내에는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국보, 1962년 지정)·월정사 석조보살좌상(보물, 1963년 지정) 등 중요한 문화재가 많이 있다. 월정사 북쪽에 위치한 상원사에도 상원사 동종(국보, 1962년 지정) 등의 문화재가 있다.

겨울에 오대산 능선에 오르면 앙상한 고사목과 적설 등이 어우러져 겨울 산의 신비로움을 느낄 수 있다. 비로봉을 지나 상왕봉까지의 4㎞ 구간은 갈대밭으로 덮여 있어 절경을 이룬다. 오대산은 가파른 계곡이 없어 겨울에 눈이 많이 내려도 눈사태의 위험이 없기 때문에 등산객들이 많이 찾는다.

참고문헌

『관광한국지리』(김홍운, 형설출판사, 1985)
『한국관광자원총람』(한국관광공사, 1985)
『관광자원론』(김정배 외, 형설출판사, 1982)
『관광지리학』(김병문, 형설출판사, 1978)
『오대산 및 소금강종합학술예비조사보고서』(문화공보부, 1971)
오대산국립공원(odae.knps.or.kr)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혁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