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령사 ()

한문학
작품
조선 전기, 박은이 개성의 송악산(松岳山)에 있는 복령사(福靈寺)를 소재로 지은 칠언율시.
작품/문학
작가
박은(朴誾)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복령사」는 조선 전기 박은(朴誾)이 개성의 송악산(松岳山)에 있는 복령사(福靈寺)를 소재로 지은 칠언율시이다. 정조가 교정한 『읍취헌유고(挹翠軒遺稿)』 권 3과 역대의 여러 시선집에 실려 있다. 박은의 시명(詩名)은 그가 살았을 당시부터 널리 알려져 있었으며, 이 작품은 박은의 시 중에서 널리 알려진 절창(絕唱)으로 꼽힌다.

정의
조선 전기, 박은이 개성의 송악산(松岳山)에 있는 복령사(福靈寺)를 소재로 지은 칠언율시.
개설

정조가 교정한 『읍취헌유고(挹翠軒遺稿)』 권 3과 역대의 여러 시선집에 실려 있다. 박은(朴誾)의 시명(詩名)은 박은이 살았을 당시부터 널리 알려져 있었으며, 이 작품은 박은의 시 중에서 널리 알려진 절창(絕唱)으로 꼽힌다.

내용

「복령사」 수련에서는 “가람은 신라의 옛적 것이고, 천불상 모두 서축에서 온 것이지[伽籃却是新羅舊 千佛皆從西竺來].”라며 복령사는 신라 때부터 있던 절이고 천불상은 인도에서 온 것임을 밝혔다. 복령사의 유래나 모셔놓은 것들이 모두 대단함을 언급하면서 시상을 일으켰다.

「복령사」 함련에서는 “옛날에 신인은 대외를 찾지 못하였는데, 지금도 복지는 천태산과 흡사하구나[終古神人迷大隗 至今福地似天台].”라 하였다. 황제(黃帝)가 대도(大道)의 상징인 대외를 만나러 구자산(具茨山)으로 가던 도중에 양성(襄城)의 들판에 이르러서 우연히 말을 먹이는 동자를 만나 길을 물었던 『장자(莊子)』 「서무귀(徐无鬼)」의 고사를 인용하여, 복령사를 찾아가는 길의 어려움을 드러내었다. 천태는 중국의 천태산으로 신선인 마고할미가 사는 곳이라 한다. 『태평광기』 권 41 손작(孫綽)의 「천태산부(天台山賦)」에 “도사를 단구에서 방문하여, 불사의 복지를 찾노라[訪羽人於丹丘 尋不死之福庭]”라는 구절이 있다. 함련에서는 이 구절에 빗대어 복령사의 상징성을 드러내었다. 신선들의 거처를 뜻하는 복지(福地)인 복령사를 신선이 사는 천태산과 같다고 하였다. 이는 곧 복령사가 고금을 통하여 도를 구하는 도량(道場)이자 세속을 벗어난 선계임을 형상화한 것이다.

수련이 복령사의 건물과 불상의 외면적인 위용을 표현한 것이라면, 함련은 복령사가 위치한 공간의 상징성을 표현한 것이다.

「복령사」의 경련에서는 “봄날 흐려 비 올 듯하니 새들 먼저 재잘대고, 고목은 무정한데 바람 제 홀로 슬프구나[春陰欲雨鳥相語 老樹無情風自哀].”라고 하여 시상을 완전히 바꾸었다. 비와 새, 나무와 바람을 교묘하게 관련시키면서, 앞 연들과는 다르게 복령사에 대한 박은의 생각을 내면의 느낌으로 나타내었다. 허균(許筠)은 이 시의 경련을 두고 신의 도움이 있었다고 격찬하였다. 남용익(南龍翼)은 경련을 이 시의 경책(警策)이라 하면서 황정견(黃庭堅)과 진사도(陳師道)를 따른 것이라 평가하였다.

「복령사」의 미련에서는 “만사가 한 번의 웃을 거리도 못 되는데, 청산도 오랜 세월 속 먼지만 가득하구나[萬事不堪供一笑 靑山閱世只浮埃].”라며 시상을 마무리하였다. 긴 세월 속 모든 사물의 무상함을 나타내었다. 이 연에서는 세상과 무관한 듯 존재하는 복령사를 강조하면서 극단적인 대조의 수법을 보였다. 허균은 이 구절을 "세속에 얽매이지 아니하고 초탈하였다[拔俗]"라고 평하였다.

의의 및 평가

박은은 「복령사」를 통해 고사의 사용, 불교와 도교에서 온 소재의 대비와 변용, 사물 간의 미묘한 기미에 대한 포착, 전후 시상의 변화 등의 매우 세련된 솜씨를 보이고 있다. 박은은 「복령사」와 같은 성숙한 경지의 작품을 창작하여 조선 전기 문학이 전성기로 올라서는 데에 큰 역할을 하였다. 이를 두고 신위(申緯)는 “우리 나라에도 강서파가 있으니, ‘노수춘음’의 읍취헌이다[海東亦有江西派 老樹春陰挹翠軒].”라는 평시(評詩)를 썼다.

한편, 박은은 연산군(燕山君)훈구파(勳舊派)의 미움을 받고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26세에 요절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읍취헌유고(挹翠軒遺稿)』
『성수시화(惺叟詩話)』

단행본

이종묵, 『해동강서시파연구』(태학사, 1995)
홍순석, 『朴誾의 生涯와 詩』(일지사, 1986)

논문

김은정, 「박은론」(『한국한시작가연구』 4, 태학사, 1995)
김현주, 「읍취헌 박은 시의 풍격 연구」(『한문학논집』 23, 근역한문학회, 2005)
홍순석, 「읍취헌 박은 연구(挹翠軒 朴誾 硏究)」(『국문학논집』 11, 단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3)
홍순석, 「박은 시의 수사기교 연구(1)-拗體의 분석을 중심으로-」(『한국한문학연구』, 한국한문학회, 200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