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

목차
관련 정보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서예
유적
국가유산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고려전기 에 건립된 승려 진경대사 심희의 탑비.
이칭
이칭
봉림사 진경대사 보월능공탑비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昌原 鳳林寺址 眞鏡大師塔碑)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고려전기 에 건립된 승려 진경대사 심희의 탑비.
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전체 높이 337㎝, 비신 높이 171㎝, 너비 99㎝. 비는 924년(경명왕 8)에 건립되었다. 비가 있던 경상남도 창원의 봉림사는 폐사된 연대가 불확실한데, 비는 오래 전에 무너졌다. 이수와 귀부(龜趺)는 상태가 좋은 편이나, 비신은 아랫부분 6자부터 절단, 분실되었으므로 보완하여 세운 것이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옛 탁본에 의하여 결실된 부분의 문자를 비음(碑陰: 비신의 뒷면)에 새기고, 마지막에 ‘□巳閏七月日重竪此刊(□사윤칠월일중수차간)’이라는 중수 사실을 기록하였는데, ‘□巳’는 1797년(정조 21) 정사(丁巳)에 해당할 것으로 추정된다.

1919년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보물, 1963년 지정)과 함께 경복궁으로 옮겨졌다.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 경내에 있다.

내용

진경대사 심희(審希)는 신라 말 선문구산(禪門九山)의 하나였던 봉림사의 개조(開祖)로, 비문(碑文)에는 출가 후 명산을 두루 다니면서 사람들로부터 공경을 받고 국왕들을 귀의시킨 그의 행적이 기록되어 있다. 923년 봉림사 선당(禪堂)에서 입적하자, 왕이 ‘진경’이란 시호(諡號)와 ‘보월능공(寶月凌空)’이라는 탑명(塔名)을 내렸다.

비문은 경명왕이 직접 지었으며, 글씨는 심희의 문하승(門下僧)인 행기(幸期)가 썼다. 글씨는 자경(字徑) 2㎝의 해서(楷書)로 구양순체(歐陽詢體)를 따랐다. 이수(螭首: 뿔 없는 용의 모양을 아로새긴 형상) 가운데 ‘고진경대사비(故眞鏡大師碑)’라는 전액(篆額)은 최치원(崔致遠)의 사촌 동생인 최인연(崔仁渷, 일명 崔彦撝)이 썼다.

귀부는 머리가 유난히 크고 입에는 여의주(如意珠)를 물고 있으며, 머리 위에는 뿔이 있었던 듯한 작은 구멍이 있다. 등에는 귀갑(龜甲)무늬를 새겼으며 둘레에 구름무늬를 둘렀다. 비좌(碑座) 4면에는 구름무늬를 새기고, 상단에는 복련(覆蓮)을 배치하여 비신을 얹었다.

이수 가운데의 전액을 중심으로 반룡(蟠龍: 승천하지 않은 용) 두 마리가 보주(寶珠)를 다투듯 구름무늬에 싸여 있으며, 모퉁이에 각각 한 마리의 용이 표현되었다. 이수 하단에는 2단의 층급을 두고 앙련(仰蓮)을 새겼고, 비신 옆면에는 운룡문(雲龍文)을 새겼다. 이들 조각은 천각(淺刻)의 경향이 있으며, 형식화된 통일신라 후기의 조각 양식을 보여준다.

참고문헌

『대동금석서(大東金石書)』
『해동금석원(海東金石苑)』
『국보』7 석조(정영호 편, 예경산업사, 1984)
『朝鮮金石攷』(葛城末治, 東京: 國書刊行會, 1974)
『朝鮮金石總覽』(京城: 朝鮮總督府, 191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