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선화가 ()

목차
관련 정보
정일당잡지 / 봉선화가
정일당잡지 / 봉선화가
고전시가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가사.
내용 요약

《봉선화가》는 작자, 연대 미상의 가사 작품이다. 형식은 4음 4보격 무한 연속체로, 2음보를 추가하여 6음보로 늘어난 행이 몇 군데 보인다. 필사본인 『정일당잡지』에 수록되어 있다. 진술 양식은 일인칭시점의 독백체 서술로서 주관적인 감흥을 서정적 양식에 담아 노래하였다. 허난설헌 문집의 ?지봉선화가? 일부 구절과 일치하고, 시상이나 시경이 비슷하다는 점을 들어 허난설헌의 작품으로 추정한 바 있다. 노래의 후반부에 조선 시대 여인들의 섬세한 감정이 잘 드러내었다는 점에서 규방가사로 파악하고 있다.

목차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가사.
내용

작자 · 연대 미상의 가사. 형식은 4음 4보격 무한 연속체라는 가사의 율격을 대체로 충실히 지켰으되, 2음보를 추가하여 6음보로 늘어난 행이 몇 군데 보인다. 필사본인 『정일당잡지(貞一堂雜識)』에 수록되어 있다. 진술 양식은 주1주2 서술로서 주관적인 감흥을 서정적 양식에 담아 노래하였다. 어떤 이는 이 작품이 허난설헌(許蘭雪軒)의 문집에 들어 있는 「염지봉선화가(染指鳳仙花歌)」 · 「선요(仙謠)」 · 「선사(仙詞)」 · 「광한전백옥루상량문(廣寒殿白玉樓上梁文)」 등의 일부 구절과 일치하는 대목이 있고, 시상(詩想)이나 시경(詩境)이 비슷하다는 점을 들어 조선 중기의 여류시인 허난설헌의 작품으로 단정한 바 있다.

그러나 「봉선화가」와 이들 허난설헌의 작품 사이의 유사성은 그 소재나 극히 짧은 일부 구절에 한정된 것이다. 「광한전백옥루상량문」 중에 “춘라 비단에 옥자를 써서 서왕모를 맞이하고(春羅玉字邀王母)”라는 구절과 「봉선화가」의 “춘라 옥자 일봉서를 왕모의게 부텻난닷”이 같은 주3이다. 또 「동선요(洞仙謠)」의 “자주 퉁소소리 가락 속에 붉은 구름 흩어지면(紫簫聲裏彤雲散)”이란 구절은 「봉선화가」의 “진유의 옥소소래 자연으로 행한 후에”와 유사하다. 이러한 부분적 유사성은 동일작가뿐 아니라 상이한 작가 사이에서도 얼마든지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다.

한편 「봉선화가」는 시종일관 봉선화로 물들인 아름다운 손톱의 묘사로 전개되고 있다. 반면, 「염지봉선화가」는 봉선화를 단지 여인의 장식물이나 여인의 한 · 원망 · 그리움의 투영으로 보지 않고 하나의 살아 있는 개체로서 깊이 있는 생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와 같이 전체 구조상의 유사성이 없는 한 동일작가로 추정하는 견해는 타당성이 없다. 더욱이 허난설헌의 주4를 정리하여 출간한 허균(許筠)은 그의 문집에서 정철(鄭澈)「사미인곡」 · 「권주사(勸酒辭)」 등의 가사 작품은 높이 평가한 바 있다. 이에 반해, 그의 누이의 가사 저작 여부에 대해서는 일체 언급이 없다는 점을 유의하지 않을 수 없다.

작품의 내용은 먼저 화자(話者)가 봉선화를 대하게 된 연유와 봉선화라는 이름의 유래, 봉선화의 아름다움과 향기 없음, 춘삼월에 봉선화를 심는 일 등 봉선화라는 제재의 주변적 사실로부터 시작된다. 이어서 긴긴 여름날 여공(女工)을 모두 끝낸 밤에 일하는 아이와 함께 봉선화로 손톱에 물들이는 모습과 그 과정을 노래했다. 다음날 거울 앞에서 눈썹을 그리려 하니 거울 속에 꽃이 만발한 듯한 아름다움과 꽃 앞에 나아가 그 아름다운 빛을 비교하는 모습을 그렸다. 마지막으로 잠깐 눈을 붙인 사이에 한 여인이 나타나 웃는 듯 찡그리는 듯, 사례하는 듯, 하직하는 듯함을 본다. 잠을 깨어 생각하니 꽃귀신일 것 같아 급히 꽃수풀로 나가본다. 땅 위에 붉은 꽃이 가득히 수놓아졌음을 보고 꽃밭에 떨어진 봉선화의 운명을 애석히 여기면서도, 다른 꽃과 달리 여인의 손톱 위에 오래 남아 그 절조를 나타냄을 강조했다.

「봉선화가」는 「규원가(閨怨歌)」와 더불어 허난설헌이 지었다는 전제 아래 규방가사(閨房歌辭)의 첫 작품으로 그 중요성이 인정되어 왔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 작품의 작자가 허난설헌이 아니라는 관점에서 그러한 견해를 부정하기도 했다. 또한, 이 작품이 교술적인 주5 계통에서 거리가 먼 점, 음수율이 4 · 4조보다 3 · 4조가 우세한 점, 시작과 종결의 형식, 어휘구사의 방식 등에서 영남지방을 중심으로 한 규방가사와는 상당히 다른 것으로 파악하기도 했다. 이와 같은 입장에서는 단지 꽃을 대상으로 한 언어 유희라는 점과 자기 탄식에 그친 노래라는 점에서 양반가사에 귀속시키려고 하였다. 그 밖에 이 가사의 문학적 성격 면에서 차라리 규방가사가 아닌 일반가사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그러나 이 노래의 후반부에 여인의 섬세한 감정이 잘 드러나 있고, 조선시대 여인들의 정서생활을 모티프로 하고 있는 점, 깊은 규중에 갇혀 화초를 벗삼아 꿈을 키우던 여인의 상황을 잘 표현해주고 있다는 점에서 규방가사의 중요한 한 자리를 차지함을 부인할 수 없다. 이와는 또 다른 작자 미상의 「봉선화가」와 「화가(花歌)」 등 많은 꽃노래가 있는데, 이 노래는 이러한 계통의 가사 중 원형적 작품으로 주목된다.

참고문헌

「규원가·봉선화가의 작자고」(이혜순, 『정병욱선생환갑기념논총』, 1982)
주석
주1

소설에서, 화자가 보고 듣고 겪은 바를 이야기하는 시점. 이때 화자인 ‘나’는 사건의 관찰자일 수도 있고, 중심인물일 수도 있다. 우리말샘

주2

혼자서 중얼거리는 식으로 쓴 문체. 우리말샘

주3

소설 따위에서, 이야기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 우리말샘

주4

죽은 사람이 생전에 써서 남긴 원고. 우리말샘

주5

조선 시대의 규방 가사. 시집가는 딸에게 어머니가 예의범절에 관하여 훈계하는 내용으로, 영남 지방에 전한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