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장취

목차
국악
작품
전라도 · 충청도 · 경기도 등 남부지방에 전승되어 오던 민속 기악곡의 하나.
이칭
이칭
봉장추(鳳將雛), 봉작취(鳳雀吹), 봉황곡
목차
정의
전라도 · 충청도 · 경기도 등 남부지방에 전승되어 오던 민속 기악곡의 하나.
내용

신재효(申在孝)의 「변강쇠타령」에는 「봉장추(鳳將雛)」로 나오며 옛 음반에서는 「봉작취(鳳雀吹)」 또는 「봉황곡」으로도 불렸는데, 이는 음악의 중간에서 새소리를 흉내낸다는 뜻에서 붙인 이름이라 한다.

독주 또는 합주로 연주하는데, 독주일 경우에는 퉁소나 젓대로 연주하는 경우가 많고, 합주일 경우에는 퉁소와 해금 또는 젓대·피리·해금·가야금 등으로 쌍고의 장단에 맞추어 연주한다. 음악만으로 연주하는 경우와 이야기체인 아니리를 섞어 가며 고니이야기를 연출하는 경우가 있다.

음악만으로 연주할 경우에는 흔히 중중모리나 중모리장단에 특징적 음 구성과 선율진행을 가진 남도민요의 대표격인 육자배기토리로 된 허튼가락을 연주하며, 중간에 새소리를 흉내낸 음형(音型:음꼴)을 사용한다.

고니이야기를 연출하는 경우에는 아니리와 악기 연주를 섞어가며 연출하는데, 이야기의 내용에 따라 진양·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장단으로 나누어 부른다. 산조(散調)가 생기기 이전에 성행하였던 음악으로 사가의 잔치에서 민간 악공들이 연주하였고, 풍각장이들에 의하여 연주되기도 하였다. 후에 산조가 생긴 뒤 자취를 감추었으나 현재 널리 연주되고 있는 「시나위」합주와 산조 발생에 중요한 공헌을 하였던 것으로 알려진 귀중한 음악의 한 종류이었다.

그 음악적 특징은 미리 정하여진 일정한 틀에 의한 것이 아닌 즉흥적 연주이었기에 연주자의 고도의 연주기술과 음악성을 요구하는 것에 있었고, 간간이 들리는 새소리의 흉내는 다른 음악에서는 들을 수 없는 흥취였다. 현재는 민족항일기에 취입한 옛 명인들이 연주한 음반에 의하여 전해질 뿐이다.

참고문헌

「풍각(風角)장이 음악고(音樂考)」(이보형, 『한국민속학』 11, 한국민속학회, 1979)
집필자
이보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