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목한전 ()

담정총서 / 부목한전
담정총서 / 부목한전
한문학
작품
조선 후기에 이옥(李鈺)이 지은 전(傳).
정의
조선 후기에 이옥(李鈺)이 지은 전(傳).
구성 및 형식

창작연대는 작자의 생애 후반기로 추정된다. 김려(金鑢)가 찬한 『담정총서』 권11 「매화외사(梅花外史)」에 수록되어 있다. 「부목한전」의 경개는 다음과 같다.

내용

진천(鎭川)의 산중에 위치한 절에 수좌와 상좌가 살고 있었다. 수좌의 명에 따라 상좌가 술을 담가놓으면, 술이 익을 때쯤 어디선가 부목한이 나타나 실컷 마시고 놀다가 갔다. 하루는 부목한이 수좌에게 앞으로 다가올 일을 어떻게 하겠느냐고 물었다. 수좌가 피하지 않겠다고 대답했다. 부목한은 아무 날 오겠다고 하고 떠났다. 그날 저녁에 호환(虎患)이 일어나 수좌가 죽었다. 화장을 하려던 날에 부목한이 와서 실컷 울고 떠났다.

상좌가 부목한을 따르겠다고 하였다. 부목한은 그에게 단명하니 인생지락이나 누리다 가라고 했다. 이별 후 상좌는 중속한(重俗漢 : 속인)이 되어 살다가 부목한이 말한 날에 죽었다.

「부목한전」은 절에서 땔감을 마련하는 등의 잡일을 거드는 부목한이 미래를 예언하는 비범한 인물임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작자 이옥이 밝힌 입전동기는 우리 민족이 민족적 긍지나 주체의식이 결여되어 자기비하적 태도가 심한 것을 비판하기 위해서였다. 이와 비슷한 입전동기로 창작된 작품으로 「신병사전」이 있다. 이옥은 이런 유형의 인물들을 입전하여 서사의 대상을 확대하고 있다. 이런 의식은 이미 그보다 앞선 시대의 허균(許筠)의 이인전(異人傳)에서 볼 수 있었다. 그리고 그보다 후대에는 유본학(柳本學)·정약용(丁若鏞) 등의 신선(神仙)의 전들에서 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부목한전」은 이옥의 초기 경험론에 입각한 합리적 세계 인식 태도와는 다른 새로운 의식의 일면을 보여준다. 이 점은 사대부로서의 현실적 삶의 좌절에서 온 자의식의 분열된 모습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작자는 이런 비현실적인 인물들을 실존적 인물이라고 입증하고 있다. 그러므로 전 양식이 가져야 할 사실기술의 서사문법을 이탈하고 있지는 않다.

참고문헌

『이옥(李鈺)의 문학이론(文學理論)과 작품세계(作品世界)의 연구(硏究)』(김균태, 창학사, 1986)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