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상록 ()

목차
관련 정보
부상록
부상록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문신 · 학자 남용익이 종사관으로 일본에 다녀온 후에 작성한 견문록. 사행록.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신 · 학자 남용익이 종사관으로 일본에 다녀온 후에 작성한 견문록. 사행록.
내용

사행은 관례에 따라 도쿠가와(德川家綱)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한 것이었다. 1655년(효종 6) 6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9개월간의 기록이다. 내용은 송시열(宋時烈)과 이경석(李景奭)의 서문, 사행 485인의 좌목(座目), 가지고 간 물건으로 국서(國書)와 서계(書啓) 등 6건, 그리고 일록과 문견별록(聞見別錄)으로 되어 있다.

일록은 갈 때의 기록과 올 때의 기록인 회사록(回槎錄)으로 구분되어 있다. 전편이 간단한 기사를 기록한 외에 시로 되어 있다. 시는 영물시(詠物詩)나 회답시(回答詩)도 많지만 지방의 풍속이나 어떤 인물에 대한 느낌, 율(律)에 맞추어 시로 쓴 일기 등 사실 나열의 산문보다 정교한 시적 표현으로 문학적 가치를 더하고 있다.

일록 가운데 나타난 양국간의 문제는 일본의 국서에 쓴 어휘와 관백(關白 : 일본 幕府時代의 고위관직)이 사행에게 내린 예물에 관한 것이었으나, 모두 우리측의 의견을 따랐기 때문에 별다른 어려움은 없었다.

회답 서계에는 일본의 관백·집정(執政)·대마도주 등이 조선에 보내는 것으로 모두 8건이다. 맨 끝에 일본의 문사(文士) 이전직(李全直)에게 준 편지가 있는데, 그는 임진왜란 때의 포로의 아들이다.

문견별록은 일본에서 보고 들은 것을 서술하였다. 그 내용은 ① 왜황대서(倭皇代序)에 시조 신무(神武)로부터 111대에 걸친 일본왕의 인적사항·치적·재위기간을 소개했고, ② 관백차서(關白次序)에는 후지와라(藤原良房)로부터 도쿠가와까지의 관백·섭정(攝政)·대신(大臣)이라는 용어의 차이를 자세히 기록하였다.

③ 대마도주서계는 21대에 걸친 대마도주 소오씨(宗氏)에 관해 기술했고, ④ 관제, ⑤ 주계(州界), ⑥ 도리(道里), ⑦ 산천(山川), ⑧ 풍속·전제·문자(文字)·원림(園林)·축산(畜産) 등, ⑨ 각 지방태수에 관한 사항, ⑩ 일본의 역사적 인물과 현재의 유명인, 대마도에서 인솔한 왜인 4명에 관한 인적 사항 등 10개 항목으로 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의 특징은 지명의 표기는 일본 고유의 발음을 한글로 기록한 것과, 모든 일본 사행기록을 종합해 내용이 자세하다는 점이다. 문학적 가치도 돋보인다.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성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