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용정리 소룡골 백제건물지 ( 소룡골 )

목차
관련 정보
부여 용정리 소룡골 백제 건물지
부여 용정리 소룡골 백제 건물지
건축
유적
문화재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삼국시대 사찰이나 관청으로 추정되는 건물터.
목차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삼국시대 사찰이나 관청으로 추정되는 건물터.
내용

1992년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소룡골은 부여에서 공주방향 국도를 따라 1.5㎞쯤 떨어진 곳에 있는데, 사람이 거주하기에 좋은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트여 있는 서남향으로는 부여시내 외곽에 있는 부소산성(扶蘇山城) · 청산성(靑山城) · 나성(羅城) 등의 유적이 보인다.

건물지는 1985년 동네사람이 연꽃무늬수막새[蓮花文瓦當]를 신고함으로써 알려진 유적으로, 같은 해 10월 국립부여박물관 · 충남대학교박물관 합동조사단이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2개의 건물터가 남북으로 31m의 거리를 두고 확인되었는데, 남쪽에 있는 건물터는 북쪽 기단(基壇)의 일부와 주초적심석(柱礎積心石)들이 남아 있어 규모 및 형태를 알 수 있었다.

발견된 북쪽 기단은 돌로 쌓은 석축으로 높이가 40㎝ 내외이며 24m가 확인되었다. 그 바깥 바닥에는 너비 60∼70㎝로 돌을 깔았는데, 남아 있는 길이가 26m이다. 주초적심석은 기단에서 100㎝쯤 들어와 3개소가 확인되었는데, 규모는 남북 73㎝, 동서 84㎝ 너비로 적심간의 중심거리는 450㎝이다.

이 건물은 마을 진입로 때문에 기단의 전체 규모를 확인할 수는 없었지만 북쪽기단이 동쪽으로 계속 연결되고 있어 기단의 길이가 26m가 넘는 것이 확실하다. 북쪽에 있는 건물터는 기단 석렬 일부가 발견되었으며, 그 위쪽에 기와퇴적층이 있었다.

기단 석렬은 11.3m이며 돌은 남쪽 부분을 맞추었다. 기와퇴적층은 두께가 30∼40㎝로 건물이 불에 타 넘어지면서 지붕의 기와류가 떨어져 이루어진 것이다.

출토유물은 연꽃무늬수막새 · 무늬없는수막새[素文瓦當]등의 기와류와 토기류 등이 많이 발견되었다. 연꽃무늬수막새는 지름이 크고 두꺼우며, 연자(蓮子 : 연꽃열매) 주위에 원을 두르고 있어 매우 특이하다.

무늬없는 수막새는 소형으로 인근에 있는 부소산성 동문지(東門址)에서 발견된 것과 비슷하다. 기와에 새겨된 무늬로는 돗자리무늬 · 마름모꼴무늬와 무늬를 지운 것이 있다. 토기류는 연질토기 · 경질토기 등이 다양하게 발견되었는데, 자배기편의 표면에 글씨가 오목새김된 것도 있었다.

한편, 건물에 사용된 수키와는 건물터의 남동쪽 100m 거리에 있는 야산의 가마터에서 구워져 공급된 것이 확인되었다. 이 건물터는 사비도성의 외곽성인 나성의 밖에서 발견된 것으로 규모가 큰 것이며, 두 건물터는 서로 같은 시기에 공존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건물터의 성격에 관하여는 조사가 부분적으로 실시되어 자세히는 알 수 없지만, 절터 또는 관청건물터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부여용정리백제건물지발굴조사보고서」(윤무병·이강승, 『백제연구』 16, 1985)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