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놀이장단 (부정놀이)

목차
국악
개념
경기도 남부지역의 무속무용에 쓰이는 4/4박자의 장단.
목차
정의
경기도 남부지역의 무속무용에 쓰이는 4/4박자의 장단.
내용

경기도 남부의 무의식(巫儀式) 중 제석굿·군웅굿·조상굿·손굿 등의 거리에서 무당이 굿상 앞에서 청신(請神)하며 추는 춤의 장단이다.

장단은 2소박 4박자이며, 서양음악의 박자로 표기하면 4분의 4박자의 장단 두 장단이 짝을 이룬다. 부정놀이춤은 부정놀이로 시작하여 이것을 조이고 올림채·넘김채로 이어서 넘기고, 겹마치·덩덕궁이로 조여간다.

참고문헌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 14-무의식편-(문화재관리국, 1983)
「진쇠와 12장단」(문화재관리국, 『중요무형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28, 1966)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