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평관 ()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서울에 온 여진족 사신의 숙식과 접대를 위하여 설치한 건물.
제도/관청
설치 시기
1438년(세종 20)
내용 요약

북평관은 조선시대에 서울에 온 여진족 사신의 숙식과 접대를 위하여 설치한 건물이다. 여진인을 위한 국가 운영 숙소가 정비된 것은 1438년(세종 20)이다. 북평관에서 여진족 사신들의 숙식은 물론 무역도 이루어졌다. 북평관은 선조 대 이후 기록에 보이지 않아 임진왜란 과정에서 소실된 것으로 추정되며, 북평관 터는 지금의 서울 흥인지문(동대문) 인근에 있다.

정의
조선시대, 서울에 온 여진족 사신의 숙식과 접대를 위하여 설치한 건물.
설치 목적과 운영

조선은 명나라 사신, 여진족 사신, 일본 사신이 머무는 숙소를 달리하였다. 여진족 사신이 서울에 왔을 때 묵는 숙소가 북평관이었다. 국초에는 여진족 사신을 위한 별도의 관사가 없어서 스님들의 숙소인 주1 등에 여진인들을 임시로 거처하게 하였고, 조선의 태종(太宗)은 여진족 사신을 위한 별도의 관사를 마련할 필요를 느끼지 못하였다.

여진인을 위한 국가 운영 숙소는 1438년(세종 20)에 정비되었다. 동부학당으로 사용하던 건물을 북평관으로 바꾸고 여진인 숙소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북평관에 관원을 두고, 인(印)을 주었다. 여진인이 방문하였을 때만 임시적으로 운영하는 건물이 아니라, 주2 아문으로 만들었으며, 아문의 등급은 5품이었다. 북평관에는 주3, 3품 이하 6품관 이상) 3인과 녹사(錄事) 2인을 두었다. 북평관은 당시 동부 흥성방(興盛坊)에 있었고, 담장이 낮았으며, 담 밖에 인가(人家)가

여진족주6 사신들은 북평관에서 숙식(宿食)하였고, 조선 조정에서 내려주는 잔치도 북평관에서 받았다. 여진 사신들은 기간을 정하여 조선 상인(商人)과 무역도 하였는데, 이 역시 북평관 마당에서 이루어졌다.

북평관은 여진족 사신을 위하여 만든 숙소였으므로 공간이 비어 있을 때가 종종 있었다. 그럴 때는 다른 용도로 활용하기도 하였는데, 간혹 중국인이 배를 타다 풍랑을 만나 조선에 표류해 오면, 이들을 조사하고 중국으로 돌려보내기 전에 북평관에 머무르게 하기도 하였다.

변천 사항

선조 대 이후 북평관에 관한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임진왜란 시기 일본 사신의 숙소였던 동평관(東平館)이 불탔다는 것으로 보아, 북평관도 화재에 소실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재건 여부에 대해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는 “북평관(北平館)을 동부(東部) 흥성방(興盛坊)에 두고 주4주5하는 것을 접대하였는데, 어느 해에 허물어져 없어졌는지 알지 못하여 지금 상고할 수 없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북평관 터는 현재 서울 동대문 인근(종로 6가 20-2)에 위치해 있다.

참고문헌

원전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주석
주1

승려가 불상을 모시고 불도(佛道)를 닦으며 교법을 펴는 집.    우리말샘

주2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도록 설치함.    우리말샘

주3

여진이나 일본의 사신을 맞이할 때에 이들에 대한 접대를 감독하던 벼슬아치.    우리말샘

주4

교양이 없고 예절을 모르는 사람.    우리말샘

주5

외국의 사신(使臣)이 찾아옴.    우리말샘

주6

10세기 이후 만주 동북쪽에 살던 퉁구스계의 민족. 수렵과 목축을 주로 하였는데, 한(漢)나라 때에는 읍루, 후위(後魏) 때에는 물길, 수나라와 당나라 때에는 말갈이라 하였다. 발해가 망한 후에 거란족의 요나라에 속하였다가 아골타(阿骨打)가 1115년에 금나라를 세웠으며, 17세기에 누르하치가 후금을 세웠는데, 뒤에 청나라로 발전하여 중국을 통일하였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