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자는 신부 최양업(崔良業, 토마스)으로, 1850년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조선 후기의 대중가사 형식인 4·4조로 되어 있으며, 죽은 뒤에 개인적으로 받게 되는 사심판을 생각하여 신앙생활을 각성시키는 노랫말이다.
가사의 대본은 죽음·심판·천당·지옥의 『사말론(四末論)』 중에서 심판부분의 사심판이다. 즉 『사말론』 중의 사심판의 내용을 가사화한 것으로, 교화(敎化)와 수도(修道)를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사심판은 죽은 뒤에 하느님으로부터 개인적으로 받는 심판을 뜻하며, 사람은 죽은 뒤에 세상에서 선택했던 생활방식에 따라 즉시 상이나 벌을 받는다는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사심판의 심판관은 하느님이며, 그 심판은 육체를 떠난 영혼 안에서 하느님의 지성과 의지의 능력으로 진행된다.
그 결과에 따라 천국이냐 지옥이냐 혹은 연옥이냐가 결정되는데, 이 심판은 공정하고 결정적인 것이므로 돌이킬 수가 없다. 이상과 같은 사심판의 교리내용을 가사로 엮어 그 제목까지도 그대로 차용하여 선교사가 부족했던 시대에 교회의 교리교사 소임을 함으로써, 신자들의 신심생활(信心生活)을 심화시키는 데 큰 구실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