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의경험방 ()

목차
관련 정보
사의경험방
사의경험방
의약학
문헌
조선후기 이석간(李碩幹) 등이 질병에 대한 경험방과 서적을 인용하여 저술한 의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이석간(李碩幹) 등이 질병에 대한 경험방과 서적을 인용하여 저술한 의서.
내용

1책. 필사본. 당시의 사의(四醫)였던 이석간·채득기(蔡得己)·박렴(朴濂)·허임(許任)의 경험방을 모으고, 그 밖에 『본초서(本草書)』·『동의보감(東醫寶鑑)』·『문견방(聞見方)』 등의 서적을 인용하여 후대인이 편집한 책이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권두의 언해부(諺解付)에는 먼저 약물명, 즉 초(草)·목(木)·금(禽)·수(獸)·과(果)·채(菜)·소(蔬)·수(水)·화(火)·충(虫)·금(金)·인(人)·토(土)·석부(石部) 등 14항목으로 나누어 300여 종류의 생약(生藥)을 나열하였고, 그 아래에는 알기 쉽게 우리나라 말의 약명(藥名)을 부기하였다.

조(條)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기술하면, 두부(頭部)·이부(耳部)·목부(目部)·비부(鼻部)·구부(口部)·인후부(咽喉部)·흉부(胸部)·심부(心部)·견배부(肩背部)·요부(腰部)·신부(身部)·풍부(風部)·학질부(瘧疾部)·산부(疝部)·치질부(痔疾部)·이질부(痢疾部)·곽란부(藿亂部)·해수부(咳嗽部)·음식부(飮食部)·토부(吐部)·소갈부(消渴部)·한부(汗部)·창종부(瘡腫部)·잡병(雜病)·부인부(婦人部)·소아(小兒)·두창경험방(痘瘡經驗方)·저부(疽部) 등으로 일상 경험의 모든 병에 대하여 간단한 처방을 기재하였다.

이 책은 민간의방서로서 애용되었는데, 『경험방(經驗方)』·『본초서』·『동의문견방(東醫聞見方)』 등의 출전(出典)을 밝혀서 그 내용을 충실히 하였다. 또한 증목(症目: 증세)을 우리말로 해석하여 경험방의 고증과 그 지식을 대중화시키는 데 큰 공헌을 남겼다.

이 책은 비교적 사물에 대한 경험을 중심으로 편술되었고, 임상(臨床)을 통하여 체험으로 익힌 실증적이고 살아 있는 의약의 전승(傳承)을 역력히 볼 수 있으며, 특히 300여 종류의 생약은 그 당시의 약에 대한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한국의학사』(김두종, 탐구당, 1979)
『朝鮮醫學史及疾病史』(三木榮, 富士精版社, 1963)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육창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