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창서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창고를 간수하고 전곡을 출납하는 일을 관장하였던 관서.
목차
정의
조선시대 창고를 간수하고 전곡을 출납하는 일을 관장하였던 관서.
내용

토관(土官)의 종6품 아문(衙門)이다. 원래의 대창서(大倉署)·염점(鹽店) 등이 합쳐서 1407년(태종 7) 사창서로 개편된 것이다.

설치지역은 함흥부·평양부·영변대도호부(寧邊大都護府)·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의주목·회령·경원·종성·온성·부령·경흥·강계 등이었다. 함흥사창서에는 감부(勘簿)·관사(管事)·섭사(攝事) 각 1인, 평양에는 감부·관사 각 1인, 섭사 2인, 영변과 경성에는 감부·관사·섭사 각 1인, 기타의 곳에는 장사(掌事)·섭사 각 1인이 있었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
『경국대전(經國大典)』
『대전회통(大典會通)』
「조선초기(朝鮮初期) 토관(土官)에 대하여」(이재룡, 『진단학보』29, 1966)
집필자
유승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