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판승(事判僧)은 수행에 전념하는 승려를 가리키는 이판승(理判僧)에 대응해 사무와 재정을 담당하는 승려를 의미하는 말이다.
이판과 사판 제도는 억불책(抑佛策)으로 승려들을 천인으로 대우했던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제도이다.
당시 승려들은 관(官)이나 유생들의 요구에 따라 기름과 종이, 신발 등을 만드는 잡역(雜役)에 종사해야만 하였고, 이를 견디지 못하는 사찰은 없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찰은 이와 같은 역경을 이겨내며 사원의 운영과 유지, 수행에 전념하였다. 이러는 과정에서 사판승과 이판승이 구분되기 시작했다.
이판이란 수행을 통해 불법(佛法)을 밝히는 것이며, 사판이란 사찰의 운영 및 관리를 말한다. 승려들은 주로 참선 · 간경 · 염불로 수도를 하였는데, 참선과 염불로 수행하는 승려를 수좌(首座)라 하고, 간경하는 승려를 강사(講師)라 불렀다. 수좌와 강사는 시끄러움을 피하여 산중의 사암(寺庵)으로 갔으며 사원의 사무와 제반 소임에 종사하는 것을 불명예로 생각해 피하였다. 그러므로 사찰을 운영하고 제반 사무를 맡는 승려층이 자연스럽게 생기게 되었다. 이와 같이 수도하는 공부승(工夫僧)을 이판승이라 하고 사무를 맡아보는 사무승(事務僧)을 사판승이라 하였다.
이판승과 사판승은 각기 일장일단(一長一短)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유생(儒生)과 위정자의 횡포에 짓눌린 교단을 지키고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잡무를 멀리하고 깊이 은둔한 이판승들의 수행으로 박해받던 불교 교단이 혜명(慧命)을 계승하고 불조(佛祖)의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또 사판승들이 사회의 천대 속에서도 심한 잡역과 주구(誅求)를 감당하고 견디었기 때문에 사찰이 유지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능화의 『조선불교통사』 하편 「이판사판사찰내정(理判事判寺刹內情)」은 이러한 상황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조선사찰에 이판승과 사판승의 구별이 있다. 이판이란 참선하고 경전을 강론하고 수행하고 홍법(弘法) 포교하는 스님들이다. 속칭 공부승(工夫僧)이라고도 한다. 사판은 생산에 종사하고 절의 업무를 꾸려나가고 사무 행정을 해나가는 스님들이다. 속칭 산림승(山林僧)이라고도 한다. 산림이란 절의 모든 사무와 재산 관리를 통틀어 하는 말이다. 이판과 사판은 그 어느 한 쪽이라도 없어서는 안 되는 상호 관계를 갖고 있다. 이판승이 없다면 부처님의 지혜 광명이 이루어질 수 없다. 사판승이 없다면 가람이 존재할 수 없다. 그래서 청허(淸虛)・부휴(浮休)・벽암(碧巖)・백곡(百谷) 스님 등 대사들이 이판과 사판을 겸했다.”
그러나 광복 후 비구승과 대처승의 다툼이 있었을 때는 비구승을 이판승, 대처승을 사판승이라 하게 되었다. 이는 비구승이 계율을 준수하며 수행에 몰두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춘 데 비해, 대처승들은 처자를 거느리고 사찰의 살림살이를 위해 노력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