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염불 ()

목차
국악
작품
황해도지방의 대표적인 민요.
목차
정의
황해도지방의 대표적인 민요.
내용

황해도지방의 대표적인 민요.

<잦은염불>과 짝을 이룰 때는 <긴염불>이라 칭한다. <산염불>은 곡명이 된 ‘염불’이라는 말과 ‘∼아미타불이로다’로 끝나는 후렴구 때문에 얼핏 불가(佛家)의 음악을 연상시키지만, 사설이나 음악적 특징은 불교음악과 크게 관련이 없다.

이에 비하여 <잦은염불>의 사설에서는 불교적인 요소를 비교적 많이 발견할 수 있다. 음악은 본래 6박으로 된 도드리장단이었으나 오늘날은 12박으로 변형시켜 중모리장단을 사용하며 여기에 굿거리로 된 <잦은염불>을 이어 부르는 것이 보통이다.

출현음은 레·라·도·레·미의 5음이고, 이 다섯 음은 서도소리 특유의 완전 5도+단3도의 형태를 보임으로써 레·라·도가 바탕을 이루고 있다. 음악의 종지도 역시 레에서 라로 진행하는 상행종지를 보여 준다.

또한 <산염불>은 선율의 길이가 서로 다른 앞소리와 2장단으로 된 후렴으로 구성되는데, 후렴구의 내용은 평양식과 개성식이 서로 다르다. 즉, 일반적으로 <산염불>을 대표하고 있는 평양식의 후렴은 “에헤 에헤야 아미타불이로다”로 부르는 데 비하여, 개성식의 <산염불>은 “니나 누나요 나누난실나요 니나누난실 산이로다”로 부르는 것이다.

<산염불>의 앞소리는 창자(唱者)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사될 수 있는데, 1945년 이전에 출판된 잡가집이나 음반에 의하면 “산에 올라 옥을 캐니 이름이 좋아 산옥(山玉)이라.”라는 사설처럼 간단하게 불렀으나 점차 사설이 시조형으로 변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1960년대 이후 음반에 수록된 <산염불>의 사설을 살펴보면 대략 다음과 같은 내용이 가장 애창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북망산천아 말 물어보자/영웅호걸 죽은 무덤이 몇몇이나 되며/절대가인 죽은 무덤이 몇일러냐

(후렴) 아하에 에헤에 에헤이 어허미/타아하 어히야 불이로다

서산낙조 떨어지는 해는/내일 아침이면 다시 돋건마는/황천길은 얼마나 먼지/한번 가면은 영절(永絶)이라

(후렴)

어젯밤에 꿈 좋더니/임에게서 편지왔네/그 편지를 받아다가/가슴 위에다 얹었더니/인철지 한장이 무겁겠소마는/가슴 답답해 못살겠네

(후렴)

활 지어 송지(松枝)에 걸고/옷은 벗어 남게 걸고/석침(石枕) 베고 누었으니/송풍은 거문고요/두견성은 노래로다/아마도 이 산중에/사무한신(事無閑身)은 나뿐인가

(후렴)

참고문헌

『조선의 민요(民謠)』(장사훈·성경린, 국제음악문화사, 1949)
「민요」(김기수, 국립국악원, 『국악전집』17, 1971)
『한국가창대계(韓國歌唱大系)』(이창배, 홍인문화사, 1976)
『한국전통음악대전집』(문화재보호협회, 지구레코드, 1981)
『팔도소리·황해도소리의 음반 및 해설집』(뿌리깊은나무, 한국브리태니카, 1984)
『잡가전집』(정재호 편, 계명문화사, 1984)
집필자
황병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