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경용천부 ()

목차
관련 정보
헤이룽장성 발해 석등
헤이룽장성 발해 석등
고대사
제도
발해시대의 수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발해시대의 수도.
내용

5경 중의 하나이다. 지금의 흑룡강성(黑龍江省) 영안현(寧安縣) 동경성(東京城)에 있었다. 발해의 제3대 문왕 대흠무(大欽茂)가 755년 무렵 중경 현덕부(中京顯德府)에서 이곳으로 천도하였다.

785년 무렵 다시 동경용원부(東京龍原府)로 천도하더니 제5대 성왕 대화여(大華璵)에 이르러 다시 수도를 이곳으로 옮겨 발해국이 망할 때까지의 수도였다.

≪요사 遼史≫에는 ‘홀한성(忽汗城)’이라고 적혀 있는데, 이는 상경용천부가 홀한하(忽汗河), 즉 지금의 목단강(牧丹江)변에 자리잡고 있는 까닭이다. 발해국을 멸한 거란은 발해국의 옛 영토에 동단국(東丹國)이라는 괴뢰국가를 세워 이 상경용천부를 수도로 하고 천복성(天福城)이라고 이름을 바꾸었다.

그러나 얼마 안 있어 동단국의 수도를 요양(遼陽)으로 옮기게 되었는데, 그 뒤 폐허가 되어 성터와 왕궁터가 남아 있다.

이 유적은 1933∼1934년에 일본의 동아고고학회(東亞考古學會)에 의하여 조사, 발굴되었다. 이로써 1,200여 년간 지하에 묻혔던 발해국의 문화가 밝혀져, 발해역사의 해석에 많은 진전을 가져왔다.

참고문헌

『신당서(新唐書)』
『발해정치사연구』(송기호, 일조각, 1995)
「唐代渤海上京龍泉府遺址」(陳顯昌, 『文物』 1980年 9期)
「北滿の二大古都址-東京城と白城-」(鳥山喜一, 『京城帝國大學滿蒙文化硏究會報告』, 1935)
「東京城外光古屯土城址」(黑田源次, 『滿洲史學』 1-1, 1937)
「東京城」(原田淑人·駒井和愛, 『東方考古學叢利甲種』Ⅴ, 1939)
「渤海國首都の調査」(村田治郞, 『滿洲の蹟蹟』, 1944)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