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고 ()

목차
관련 정보
규장각 서고
규장각 서고
출판
개념
장서를 보존하여 이용자가 청구할 때 제공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지닌 방이나 건물.
목차
정의
장서를 보존하여 이용자가 청구할 때 제공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지닌 방이나 건물.
내용

서고는 열람실, 사무실과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업무의 조정에 편리하도록 배치되어야 하며, 서고 면적의 65%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즉 서고 1㎡당 180책을 수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고는 내화(耐火) 건축이어야 하며, 원칙적으로 냉 · 난방, 환기, 방습, 방진(防塵), 방충의 장치를 갖추어야 하고 직사광선을 피하여야 한다. 서고 내의 채광, 천장, 벽, 바닥의 색채는 출납, 검색의 효율성을 고려해야 하며, 조명은 바닥면의 조도가 100룩스 이상이어야 좋다.

서고의 종류는 폐가제서고 · 개가제서고 · 보존서고가 있다. 폐가제서고의 경우, 이용자는 목록에 의해 서적을 선택하여 계원에게 신청하고 서고에는 계원만이 출입하므로 관리에는 편리하나 열람자는 불편하다. 현재 이용빈도가 낮은 도서와 귀중서, 희귀서를 폐가제로 운영하고 있다. 이 경우 소수의 허락된 연구자에게는 연구기능을 높이기 위해 작은 독서석을 설치하기도 한다.

표준서가배열은 서가간격 1.35m로 복식서가를 한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가는 단독식 서가(單獨式書架)와 적층식 서가(積層式書架)가 있는데, 적층식 서가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대규모 도서관에서 채택하고 있다. 요즈음은 장서량이 증대되어 전동식 집밀형(集密型)서가를 설치하기도 한다. 대규모 도서관은 대개 고층이므로 장서출납을 위해 수직승강기(리프트, 엘리베이터)와 기송관(氣送管) 등이 설치된다.

우리나라의 전통적 서고는 대개 폐가식인데 도산서원의 동 · 서광명실(東西光明室)에서 그 예를 볼 수 있다. 개가제서고는 열람자가 아무 수속 없이 서가에 접근하여 열람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서고가 필요하지 않다. 이용본위로 운영되므로 이용자에게는 편리하나 관리에는 어려움이 많다. 대개의 도서관은 이용빈도가 높은 참고도서 · 서지 · 정기간행물 · 교과서 · 문학작품 등은 개가제로 운영하고 있다.

보존서고는 이용빈도가 낮은 도서를 여러 도서관이 협동하여 한 군데에 보존하기 위한 서고이다. 우리나라에는 아직 공간문제가 심각하지 않으므로 공간문제로 인한 보존도서관은 없으나, 미국에는 수장본위로 운영되는 보존서고가 있다. 보존서고에는 1㎡당 480책을 수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나라에는 조상의 문화유산인 고문헌과 정부기록 보존을 위한 보존서고가 있다. 이런 귀중도서와 특수자료의 서고는 보관상 특수설비로 방폭(防爆)시설, 방화시설(하론가스분출식), 자동항온 · 항습시설을 갖추고 보관과 이용에 편리하도록 설비되어 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서고는 중동지방에서 발굴된 서기전 7세기경 아시리아(Assyria)의 점토판 도서관이다. 서양 중세에는 책을 서가에 쇠사슬로 매단 낭독대제도가 유행하였다.

참고문헌

『공공도서관의 시설』(한국도서관협회, 1966)
『대학도서관기준의 이론과 실제』(이병목, 구미무역 출판부, 1985)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