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찬 ()

유교
문헌
사서(史書)와 제자백가서에서 필요한 구절을 발췌하여 분류하고 정리한 유서(類書).
목차
정의
사서(史書)와 제자백가서에서 필요한 구절을 발췌하여 분류하고 정리한 유서(類書).
서지적 사항

19권 7책. 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자와 간행 연도를 알 수 없다.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이 책의 전래본은 목활자본과 필사본이 있다. 간행년 미상의 목활자본은 반엽에 17행 22자본과 17행 23자본이 있으나, 양쪽 모두 판면이 조잡하다. 규장각수장본 가운데에는 면지(面紙)에 “건륭연간(1736∼1795)에 내전에서 하사한 서책이며 도주자본(乾隆年內殿下賜件陶鑄字本)”이라는 기록이 있는 활자본이 있다. 이 판본은 도활자본이 아니라 목활자본으로 고증되었다. 필사본도 필사년을 알 수 없지만, 본문에 이황을 인용하고 있는 점으로 보아 선조 이후에 편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내용

전체 50문 850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책에 천지문(天地門) 51목(目), 산수문(山水門) 15목, 화초목채문(花草木菜門) 53목, 제2책에 조수군충문(鳥獸群蟲門) 67목, 술예문(術藝門) 45목, 문예문(文藝門) 23목, 과제문(科第門) 5목, 절서문(節序門) 17목, 제왕경국입제문(帝王經國立制門) 18목, 제3책에 제왕가정문(帝王家政門) 11목, 제왕입정문(帝王立政門) 32목, 교화문(敎化門) 23목, 백관문(百官門) 29목, 제4책에 용인문(用人門) 29목, 진퇴사지문(進退仕止門) 12목, 화복문(禍福門) 9목, 학술문(學術門) 59목, 제5책에 치생문(治生門) 15목, 이재문(理財門) 18목, 재보문(財寶門) 14목, 연향문(宴享門) 5목, 주식문(酒食門) 6목, 병제문(兵制門) 14목, 병기문(兵伎門) 9목, 전수문(戰守門) 11목, 제6책에 임장문(任將門) 9목, 교린사대문(交隣事大門) 5목, 수내양외문(修內攘外門) 8목, 병화문(兵禍門) 7목, 법제문(法制門) 8목, 형옥문(刑獄門) 17목, 제택문(第宅門) 10목, 도로문(道路門) 4목, 공정문(工政門) 11목, 야용문(冶容門) 7목, 기용문(器用門) 19목, 사야문(四野門) 4목, 기성문(記性門) 2목, 질병문(疾病門) 7목, 사생문(死生門) 5목, 부인문(婦人門) 9목, 제7책에 예악문(禮樂門) 14목, 장복문(章服門) 21목, 혼례문(婚禮門) 3목, 상장문(喪葬門) 15목, 사전문(祀典門) 14목, 증전문(贈典門) 4목, 인사문(人事門) 31목, 인륜문(人倫門) 25목, 사우문(師友門) 5목 등이 수록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시대순으로 편성되었으며, 인용 근거를 먼저 밝히고 여러 서적에서 필요한 구절을 인용하였다. 인용된 범위는 『주역(周易)』·『중용』 등의 경전(經傳)과 공자(孔子)·주희(朱熹)·회남자(淮南子)·채침(蔡沈)·진순(陳淳)·진덕수(眞德秀) 등 중국인의 문헌이 중심이다. 우리나라 문헌으로는 이황(李滉)의 것이 인용되고 있을 뿐이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