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두창 ()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에 현 경상남도 창원시 지역에 설치되었던 조창(漕倉).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시대에 현 경상남도 창원시 지역에 설치되었던 조창(漕倉).
개설

고려시대에는 전국에 13조창을 설치하고 조운(漕運)을 통하여 각 지방의 세곡(稅穀)을 개경으로 운반하였다. 석두창(石頭倉)은 경상도 동남부 지역의 세곡을 모아 개경의 경창(京倉)으로 운송하는 기능을 담당하였다.

내용

석두창은 고려 초기에 설치한 전국 13조창 중 하나로, 경상도 합포(合浦)에 설치한 조창이다. 합포는 현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와 마산합포구 시가지 지역의 옛 명칭으로, 고려 후기에 회원(會原)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조선 초기에 의창(義昌)과 통합되어 창원이 되었다. 고려 초기 성종 연간(981~997년)에는 석두창이 위치했던 포구를 나포(螺浦)라고 불렀으며, 그 이전에는 골포(骨浦)라 하였다. 992년(성종 11) 개경까지의 수경가(輸京價), 즉 조운선 운반 비용을 정할 때에 석두창이 있었던 나포에서 개경까지는 세곡 5석 당 1석의 운반 비용을 책정하였다. 석두창의 수세(收稅) 구역은 경상도 동남부 지역에 해당하며, 고려시대 행정 단위로 보면 울주(蔚州, 현 울산)와 김주(金州, 현 김해), 밀성(密城, 현 밀양), 양주(梁州, 현 양산) 등과 그 속군현(屬郡縣) 지역이 중심이었을 것이다.

석두창의 정확한 현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제시되어 있다. 조선 전기에 편찬된 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합포가 창원부 관아 서쪽 10리, 마산포(馬山浦)가 창원부 관아 서쪽 15리에 위치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합포에는 석두창이 있었고, 마산포에는 석두창의 후신인 마산창이 있었는데, 석두창이 합포 관아 터에 있었는지 아니면 마산포에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분명히 알 수 없다. 현재까지 학계에서는 석두창의 위치를 창원시 마산합포구 석전동 일대, 마산합포구 산호동 일대, 그리고 조선 후기 마산창의 자리에 해당하는 현 창원시 마산합포구 남성동 일대 등으로 비정하는 견해 등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그 중 석두창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유적이 남아 있는 곳은 없다.

또한 『고려사』에는 정종(靖宗) 때(10341046) 전국 각 조창에 배치할 조운선의 숫자를 정하면서, 석두창에는 1척 당 1000석의 곡식을 실을 수 있는 초마선(哨馬船) 6척을 두었다고 한다. 석두창에 모인 세곡은 남해안과 서해안을 따라 개경의 경창(京倉)으로 운송되었다. 석두창을 비롯한 13조창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조창을 드나드는 세곡의 보관 및 운송과 관련된 실무를 담당했을 것이며, 13조창에는 판관(判官)이 임명되어 각 조창에서의 세곡 운송과 보관을 관리, 감독하였다. 인종 때(11221146년) 개정된 외관(外官)의 녹봉 규정에 따르면, 13창의 판관에게는 20석의 녹봉이 지급되었다.

변천과 현황

고려 후기 왜적의 침략이 심해지면서 조운을 통한 세곡 운송에 큰 곤란이 발생하였다. 석두창이 있었던 창원 지역은 일본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조창 운영과 조운에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었다. 1377년(우왕 3) 왜구가 회원창(會原倉)을 습격한 바 있는데, 회원창이 석두창과 동일한 곳이거나 석두창의 후신일 가능성도 있다. 조선 건국을 전후한 시기 왜적의 침략이 약화되면서 경상도 남해안 지역에서의 조운도 재개되었다.

그런데 고려 후기 이후 석두창이라는 명칭은 사료에서 찾을 수 없다. 조선 건국 직후 창원 지역에는 마산창이라는 조창이 존재하였다. 마산창이 석두창에서 단순히 이름만 바꾼 것인지, 아니면 조창의 위치 이동이 동반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마산창은 1403년(조선 태종 3)에 폐지되고 경상도 남부 지역의 세곡은 문경새재를 넘어 충주와 한강을 거쳐 경창(京倉)으로 운반하도록 하였다. 이후 오랫동안 창원 지역에는 조창이 존재하지 않다가, 1760년(영조 36)에 마산창이 다시 설치되었다.

의의와 평가

석두창은 고려시대 전국에 설치된 13조창 중 하나로서, 수도인 개경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경상도 동남부 지역의 세곡을 모아 경창으로 운송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석두창은 이후 마산창으로 계승되었으나 마산창은 1403년에 폐지되었다. 이후 이 지역에는 조창이 존재하지 않다가 1760년에 다시 마산창이 부활하였다. 고려시대 석두창은 조선 후기 마산창의 기원이 되는 조창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세종실록(世宗實錄)』 지리지(地理志)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조선후기 선운업사 연구』(최완기, 일조각, 1989)
『고려시대 조운제도 연구』(문경호, 혜안, 2014)
『고려시대 교통운수사 연구』(한정훈, 혜안, 2013)
『한국사: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24(국사편찬위원회 편, 탐구당, 1994)
『한국사: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14(국사편찬위원회 편, 탐구당, 1993)
「고려~조선전기 조창(漕倉)의 분포와 입지」(정요근, 『한국사학보』 57, 고려사학회, 2014)
「고려시대 조운제와 마산 석두창(石頭倉)」(한정훈, 『한국중세사연구』 17, 한국중세사학회, 2004)
집필자
정요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