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산격동 사자주악장식 승탑 ( )

목차
관련 정보
대구 산격동 사자 주악장식 승탑
대구 산격동 사자 주악장식 승탑
건축
유적
국가유산
대구광역시 북구 경북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된 고려시대 팔각원당형 석조 불탑. 승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대구 산격동 사자 주악장식 승탑(大邱 山格洞 獅子 奏樂裝飾 僧塔)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대구 북구 산격3동 1370번지 경북대학교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대구광역시 북구 경북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된 고려시대 팔각원당형 석조 불탑. 승탑.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39m. 일본인 오구라 다케노스케[小倉武之助]가 대구 산격동 연화 운룡장식 승탑(보물, 1963년 지정)과 함께 소장하였던 것으로, 원래의 위치는 물론 누구의 유골을 안치하였는지도 알 수 없다.

승탑은 신라 승탑의 전형적인 양식인 8각원당형(圓堂形)으로, 네모난 바닥돌 위에 받침돌과 몸돌, 지붕돌을 올린 모습이다. 받침돌은 아래받침돌, 가운데받침돌, 윗받침돌로 구성되었다. 단면 8각의 아래받침돌은 넓고 네모난 바닥돌 위에 올려져 있다. 아랫부분에는 8각의 굄이 2단으로 새겨져 있고, 윗부분에는 8각의 덮개돌 모양이 자리하고 있는데, 덮개돌 밑면에는 쇠시리인 부연(副椽)이 있다. 옆면의 각 면에는 모습이 다른 사자가 돋을새김되어 있고, 윗면에는 구름 무늬가 입체적으로 조각되어 있으며, 구름 무늬의 안쪽에는 단면이 8각인 높직한 1단 굄을 두고서 그 위에 다시 2단의 낮은 테두리 장식을 새겨 가운데받침돌을 받치게 하였다. 가운데받침돌은 제법 낮은 편인데, 각 모서리는 모를 세우지 않고 둥글게 처리하였다. 각 면에는 고려시대에 건립된 석조물에서 볼 수 있는 특유의 안상(眼象)을 새겼는데, 좌우가 안쪽으로 들어온 안상 안에는 주악천인상(奏樂天人像)이 돋을새김되었다. 윗받침돌도 그리 높은 편은 아니다. 밑면에는 하나의 꽃잎[單瓣]이 위로 솟은 앙련(仰蓮)의 연꽃 무늬 8개를 소박하면서도 큼직하게 돋을새김하였는데, 연꽃 안에는 또 다른 꽃 무늬를 곁들였다. 윗면에는 8각의 단면에 띠를 두르고서, 꽃잎이 아래로 향한 복련(覆蓮)의 연꽃 무늬 16개를 빙둘렀으며, 그 위에는 몸돌을 받치는 테두리 장식을 두었다.

몸돌은 낮은 편으로, 각 모서리에는 모서리 기둥이 조각되었다. 앞면과 뒷면에는 문비(門扉) 모양과 자물쇠가 새겨져 있고, 문비의 좌우에는 사천왕상과 보살입상이 돋을새김되었다. 지붕돌은 대체로 넓은데, 밑면에는 몸돌 윗부분의 굄을 중심으로 좌우에 탁자 위에 놓인 향로를 새겨 놓았고, 그 앞뒤에는 각각 3구씩 모두 6구의 비천상(飛天像)을 조각하였다. 윗면인 낙수면에는 8각의 모서리마다 내림마루인 우동(隅棟)이 굵게 표현되었으며, 내림마루 끝에는 원래 귀꽃이 있었지만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지붕돌의 꼭대기에는 연꽃 무늬가 둘러 새겨져 있으며, 그 위에는 상상의 새인 가릉빈가(迦陵頻伽)를 4면에 조각한 노반(露盤)이 얹혀 있다.

이 승탑은 지붕돌이 약간 손상되었고, 머리장식인 상륜부(相輪部)도 완전하지 않지만, 세부 조각이 웅장하고 위아래가 아름다운 비례를 갖추고 있다. 특히 받침돌의 조형과 조각은 고려시대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으므로, 고려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부도』(정영호, 대원사, 2003)
『신라와 고려시대 석조부도』(엄기표, 학연문화사, 2003)
『한국의 미』15-석등·부도·비-(정영호 감수, 중앙일보사, 1983)
『한국미술전집』7-석조-(정영호 편, 동화출판공사, 1973)
『조선 탑파의 연구』(고유섭, 을유문화사, 1954)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정영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