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무부인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전기 제1대 태조의 제25왕비.
인물/전통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평주(平州: 지금의 황해도 평산)
정의
고려전기 제1대 태조의 제25왕비.
개설

평주(平州: 지금의 황해도 평산) 사람이다. 아버지는 삼한공신(三韓功臣)에 책봉되고 삼중대광(三重大匡)의 관위에 오른 박지윤(朴智胤)이다. 박지윤은 아들 박수문(朴守文)·박수경(朴守卿)형제와 더불어 태조를 도와 삼한공신에 책봉되었으며, 3인이 모두 태조의 장인이 되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평주지방은 신라의 패강진(浿江鎭)이 설치되었던 곳으로서 군사력이 특히 강한 곳이었다. 그러므로 태조는 자신의 지원세력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많은 후비(后妃)를 이곳에서 맞아 들였는데, 특히 박씨가문에서만 3명의 후비를 들였다. 그만큼 평주 박씨 가문의 지원이 태조에게는 필요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성무부인(聖戊夫人)은 효제태자(孝悌太子)·효명태자(孝明太子)·법등군(法登君)·자리군(資利君)의 네 아들과 1명의 공주를 출산하였는데 4명의 아들은 모두 일찍 죽어 후손이 없다. 공주는 신라의 마지막왕인 경순왕(敬順王)에게 출가하였다. 출생자녀가 많은 것으로 보아 태조와의 혼인생활이 장기간 계속된 것으로 보이는데, 그런데도 후비의 순차가 제25비에 지나지 않는 것은 이들 가문이 신분상 한미한 처지였음을 보여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시대의 후비』(정용숙, 민음사, 1992)
「김치양난의 성격」(이태진, 『한국사연구』17, 1977)
집필자
정용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