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암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성암유고<1>(2)
성암유고<1>(2)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송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0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송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책. 석인본. 1920년대에 후손 남현(南顯)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전경연참찬관(前經筵參贊官) 송영대(宋榮大)의 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시 26수, 만사 2수, 문(文) 3편, 부록에 연보·행장·묘갈명 각 1편, 민형남(閔馨男) 등의 만사 2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뒤에 『저은유고(苧隱遺稿)』와 『죽촌유고(竹村遺稿)』가 합철되어 있다.

시에는 「춘일잡영(春日雜詠)」·「영설(詠雪)」 등 서정적인 것과 「안경(眼鏡)」과 같이 사물을 나름대로 해석하여 형상화시킨 것, 「여월사정구민지애형남공부(與月沙廷龜閔芝崖馨男共賦)」 등 벗과 함께 짓거나 화답한 것도 다수 있다. 그밖에 「유천구곡(油川九曲)」은 봉래(蓬萊) 유천의 빼어난 풍경을 9수로 나누어 그린 시이다.

문에는 광해군 당시 당쟁에서 자신을 비호하던 유영경(柳永慶)의 공신 철권(功臣鐵券)과 교유하던 벗과 함께 만든 「청풍계계회첩서(淸楓溪稧會帖序)」 등이 있다.

『저은유고』는 저자 미상이며, 소(疏) 2편과 척독(尺牘) 2편이 실려 있다. 소는 인현왕후의 출궁(出宮)과 관련하여 그 부당함을 지적한 것이다.

『죽촌유고』는 송규회(宋圭會)의 문집으로 시 16수와 척독 2편, 부록으로 행장·묘갈명·묘표 각 1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에는 「왕대비전단오첩(王大妃殿端午帖)」 4수와 「고종태황제만장(高宗太皇帝輓章)」 3수 등 왕실의 은덕을 기리는 것들이 있다. 그밖에 「하윤도정성훈팔십오세(賀尹都正性勳八十五歲)」 등 축하시들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척독은 「복도산통문(覆陶山通文)」과 이의 「재복(再覆)」으로, 도산의 유적을 보전하고 문하 제자의 인명록 작성을 위해 동문계(同門契)를 만들고자 쓴 통문이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구선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