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장북이라고도 한다. 북에는 농악에 쓰이는 매구북, 승무에 쓰이는 승무북(法鼓) 등 여러 종류가 있으므로 판소리 장단에 쓰는 북을 다른 북과 구별하기 위하여 소리북이라 하고, 판소리에서는 그냥 백(白)북이라고도 부른다.
고장북이란 판소리에서 장단을 치는 것을 고장(鼓長)친다고 하는 데서 나온 말이다. 소리북은 여러 북 가운데 가장 정교하게 만든다. 북통은 소나무를 깎아서 짜되 지름 40㎝, 높이 25㎝ 가량 되게 만든다. 통의 양쪽에 쇠가죽을 대고 놋쇠 못을 여러 개 박아서 맨다.
좋은 소리가 나도록 쇠가죽의 기름을 빼고 안을 깎아내 만들며, 북통에는 가죽을 씌우되 너무 딱딱한 소리가 나지 않게 속에 종이나 헝겊을 바른 다음 그 위에 가죽을 씌운다. 북채는 도장나무나 박달나무 혹은 탱자나무를 지름 2.5㎝, 길이 25㎝쯤 되게 깎아 만든다.
고수는 북을 앞에 놓고 앉되 북을 왼편으로 약간 당겨 놓고 왼손 엄지를 북의 궁편(왼편 가죽) 꼭대기에 얹어 놓고 손바닥을 펴서 중편 가죽을 치고, 오른손에 북채를 쥐고 오른편 가죽과 북통을 친다. 북통은 여러 곳을 치나 흔히 온각자리라 하여 북통의 맨 꼭대기 가운데, 반각(半刻)자리라 하여 북통의 안쪽에서 약간 오른편, 매화점(梅花點)자리라 하여 북통의 꼭대기 오른편 모서리를 친다.
고수는 소리의 악절이 시작될 때에는 채로 오른편 가죽을 세게 치며, 소리가 일어날 때에는 채로 반각자리를 약간 세게 치며, 소리를 달고 갈 때에는 채로 매화점자리를 굴려친다. 소리를 맺어줄 때에는 채로 온각자리를 매우 세게 치며, 소리를 풀 때에는 왼손 바닥으로 궁편을 굴려친다.
언제부터 판소리에서 사용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남부지방에서는 주로 백북을 많이 썼고, 중부지방에서는 단청(丹靑)북을 많이 썼다고 하나 현재는 백북이 주로 쓰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