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두류록 ()

탁영문집 / 속두류록
탁영문집 / 속두류록
한문학
작품
조선 중기에 김일손(金馹孫)이 지은 두류산(頭流山 : 지금의 智異山) 유람 기행문.
이칭
이칭
두류기행록(頭流紀行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중기에 김일손(金馹孫)이 지은 두류산(頭流山 : 지금의 智異山) 유람 기행문.
구성 및 형식

이 글은 작자의 문집인 『탁영집(濯纓集)』 권5 「습유(拾遺)」에 「두류기행록(頭流紀行錄)」으로 실려 있고, 『속동문선(續東文選)』 21권에도 실려 있다. 조선 초기 김종직(金宗直)이 「유두류록(遊頭流錄)」을 지은 이래, 남효온(南孝溫)이 「지리산일과(智異山日課)」를, 김일손(金馹孫)이 「속두류록(續頭流錄)」을, 조식(曺植)이 「유두류록(遊頭流錄)을 남겼다. 이 작품은 그의 스승인 김종직(金宗直)이 지은 「유두류록(遊頭流錄)」을 본떠서 쓴 것인 듯하다.

내용 및 평가

기행문의 구성도 「유두류록」과 비슷하다. 그 내용 구성은 천령(天嶺)에 사는 정여창(鄭汝昌)·임대동(林大仝) 그리고 작자 세 사람이 일행이 되어 지리산 일대의 경승지를 4월 11일에 출발하여 28일까지 견문한 것으로 매일 매일 견문한 것을 기록하였다.

기행문 속에는 지리산의 절경을 소개한 내용도 있지만 산 속의 여러 암자와 사찰에서 승려와 신도들이 불법을 듣고 성불(成佛)을 위하여 수행하는 과정 등을 관심있게 표현한 대목들이 많다.

등구사(登龜寺)·금대암(金臺菴) 등지에서 절의 승려가 누더기옷을 입고 범패(梵唄)를 부르면서 도량정진(道場精進)하는 모습을 보고, 그 수련방법이 세련되어 잡됨이 없다 하고, 이따금 정신이 혼미해지면 대나무로 만든 막대로 쳐서 정신을 차리게 하는 등의 수련상황을 잘 묘사하고 있다.

그는 각 사찰의 역사와 유래를 자세히 기록하였으니, 단속사(斷俗寺)는 신라시대의 이순(李純)이 벼슬을 사양하고 불교에 귀의하여 세운 절이라고 소개하였고, 강희맹의 조부 강회백(姜淮伯)이 젊어서 여기에 와 글을 읽으면서 손수 심었던 매화나무인 정당매(政堂梅)를 기록하고 있다. 묵계사(默契寺)·동상원사(東上元寺)·영신사(靈神寺)·신흥사(神興寺) 등에 대한 설명도 역사적인 사실과 비교하면서 진행하고 있다.

김일손은 이 글에서 기행문을 통한 사관(史觀)의 일단을 표출하면서 역사 속의 실제현장을 답사함으로써 사실을 확인하려는 진지한 자세를 엿보게 한다.

참고문헌

『탁영집(濯纓集)』
『점필재집(佔畢齋集)』
「여행자 문학에 대한 고찰」(최철, 『눈뫼 허웅박사 환갑기념논문집』, 1978)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