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랑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인물
삼국시대, 남경 서하사의 주지를 역임한 고구려의 승려.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고구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승랑(僧朗)은 삼국시대 남경 서하사 주지를 역임한 고구려의 승려이다. 중국으로 건너가 승조(僧肇) 계통의 삼론학을 공부하여 중국에서 삼론종학(三論宗學)을 확립시켰다. 승랑의 사상과 학설을 계승한 사람으로는 수나라 말기 『삼론현의』 등을 저술하며 활약한 승려 길장이 있다.

목차
정의
삼국시대, 남경 서하사의 주지를 역임한 고구려의 승려.
인적사항

승랑(僧朗)의 생몰년(生歿年) 및 생애는 자세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승랑은 장수왕(394~491) 후기에 랴오둥[遼東]에서 태어났다. 그는 중국으로 가기 전 고구려에서 이미 구족계를 받았으며, 고구려를 떠나기 전에 불교에 대한 지식을 충분히 갖추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활동

승랑은 비록 고구려로 돌아오지 않았지만 고구려 초기 불교와 후기 불교를 이해할 때 주목해야 하는 승려이다. 30세 때 중국으로 건너간 승랑은 구마라집(鳩摩羅什)의 제자에게 중관학(中觀學)을 배웠다. 이 무렵 북쪽에서는 『아비달마론』이 성행하고 있었고, 남쪽(江南)은 『성실론(成實論)』에만 치우치고 있었다. 승랑은 성실학파를 비판하였다. 그는 둔황[燉煌]까지 가서 담경(曇慶)으로부터 삼론(三論)을 배웠고, 『화엄경(華嚴經)』에도 조예가 깊었다.

송나라 때에는 남쪽으로 옮겨 절강성(浙江省) 회계산(會稽山)에 있는 강산사(岡山寺)에 머물렀고, 절강성 종산(鍾山)에 있는 초당사(草堂寺)로 옮겨 주옹(周顒)에게 삼론을 가르쳤다. 주옹은 도교와 불교에 밝았고 만년에 『삼종론(三宗論)』을 지은 인물이다.

승랑은 512년(문자왕 21) 남경(南京)에 있는 섭산(攝山)의 서하사(棲霞寺)에서 양(梁)나라 무제(武帝)가 선발해 파견한 지적(智寂) · 승회(僧懷) · 혜령(慧令) · 승전(僧詮) 등 열 명의 고승에게 삼론학을 가르쳤다. 또한 법도(法度)의 뒤를 이어 서하사의 주지를 맡았다.

제자 중 승전이 승랑의 학설을 계승하였고, 승전의 학통을 이은 사람은 흥황사(興皇寺)의 법랑(法朗)이다. 법랑의 후계자는 가상대사 길장(吉藏)이다. 승랑의 저술은 현존하지 않는다. 그러나 길장의 저술이나 중국과 일본 등에 현존하는 삼론 관계 문헌들에는 승랑의 논설이 인용되고 있다. 길장은 수나라 말기에 가장 많은 저술을 남겼던 불교 학자로 승랑의 사상과 학설을 계승하여 ‘삼론종학(三論宗學)’을 크게 완성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고승전(高僧傳)』
『대승현론(大乘玄論)』
『법도전(法度傳)』
『법화현의석첨(法華玄義釋籤)』
『이제의(二諦義)』
김인덕, 『삼론현의 현정론연구(三論玄義 顯正論硏究)』(불교사상사, 1979)
김잉석, 「승랑(僧朗)을 상승(相承)한 중국삼론(中國三論)의 역사성(歷史性)」(『동국대학교논문집』 1, 1964)
平井俊榮, 『中國般若思想史硏究』(東京春秋社, 1976)

단행본

김성철, 『승랑-그 생애와 사상의 분석적 탐구-』(지식산업사, 201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